학술논문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ocs) 연구의 방법론
이용수 40
- 영문명
- A Methodology about the Study of sociolinguistic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숙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67호, 143~17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언어학 연구의 방법론을 소개하여, 사회언어학이야말로 모든 삶의 근원이 되고 모든 사람들이 관심과 흥미를 가지고 들여다볼 만한 능력과 효과를 가진 것이 학문임을 보이고자 함이다.사회언어학적 연구를 위한 기준 요소로는 일반적으로 참가자(participants), 상황 및 배경(setting), 화제(topic), 기능(function)을 드는데, 이 네 가지의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요소들은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연구에서 모든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된다.사회언어학이란 가장 간명히 말하면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 현상과 언어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라서 그 연구 주제는 매우 다양하고 넓을 수밖에 없는데, 이 넓고 복잡 다양한 사회언어학은, 그 궁극적 목적이 무엇인가에 따라 인간의 의사 소통 행위를 거시적미시적 두 갈래로 대별해 볼 수 있고, 그건 또 내부적으로도 몇 가지로 변별되기도 한다. 거시 사회언어학(macro-sociolinguistics)은 연구 단위를 국가로 보는 연구 방법으로서, 대표적인 연구 주제로는 한국어 언어 계획과 언어 정책, 언어 교육으로서의 문화, 사회 변화와 언어의 변화, 남북한 언어 통일 문제, 한국어의 세계화 문제 등을 들 수 있다.미시 사회언어학적 연구는 주로 다양한 사회적 변인(social variable)에 의한 언어의 다양성이 규명되는 연구들인데, 특히 국어 경어법의 사회언어학적 연구는 한국의 사회언어학적 연구의 가장 근간을 이룰 만큼 많은 연구와 성과가 드러났다. 사회언어학은 앞으로 더 많은 언어학자들의 관심을 끌게 될 것이고 언어에 나타나는 각 영역별 변이들을 체계적으로 설명해 주어, 순수언어학적 방법으로 해결할 수 없었던 많은 언어 현상들을 명쾌하게 해결해 줄 수 있으며, 실제로는 사회 생활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갈등을 해석하고 또 해소해 주어, 결과적으로 언어학 연구의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a current status of sociolinguistics by reviewing methodology about the study of sociolinguistics.
Sociolinguistics is “the study of language as it is used by real speakers in social and situational contexts of use.” It has four characteristics. (1)Those who study sociolinguistics are linguists but they have great interests in adding social variables to pure linguistics. Sociolinguists believe that criteria of correct language usage be based upon not only pure grammatical standard but also societal norm in terms of its relevance and general acceptance. (2)The goal of sociolinguistics is to identify a co-variance between language and society and to establish a theory of language performance. (3)Sociolinguistics regards synchronical and diachronical traits as an identical frame. (4)Sociolingustics pays attentions to an usage of language in societal contexts and extends language competence, which is the main subject of pure linguistics, to communicative competence. D. Hymes(1974) predicts that the core areas of linguistics is actually sociolinguistics and, thus, the prefix 'socio' will not be necessary. Although we still have that prefix, it is true that sociolingusitics has already had its own identity and is growing rapidly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In conclusion, this paper wants to argue that sociolinguistics will receive more attentions from linguists and play a key role in linguistics by explaining variations in language more systematically, and by interpreting and eliminating language conflict in everyday lif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맺의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李箱詩 「烏瞰圖」의 詩 第一號의 리듬 연구
- 광복 이후 문학주의와의 투쟁을 전후한 민족 문학 논쟁 연구
- 구약 『아가』의 환언과 대용형 연구
- 시의 일탈이 보여주는 저항과 자유에의 질주
- 작중 인물 이해를 통한 소설교육 연구
- <권익중전>의 사실성과 환상성
- 백석의 시와 김동리 소설 대비고
- 과정중심의 쓰기 수업 분석 요소
- 비판적 미디어 읽기의 국어교육적 수용을 위한 교수 전략 연구
-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 안민가(安民歌)의 원형적 상징성
- 漢語와 韓語의 漢字語彙 對比
- 白石 詩 硏究
- ‘여러’의 어원
- 사회언어학(Sociolinguistiocs) 연구의 방법론
- 대학생 特殊語의 사회학적 기능
- 문식성 발달 연구를 위한 학제적 방법론
- 월인석보의 의존명사 연구
- 여창 시조의 형성 과정과 향유 방식
- 대중매체의 교육적 수용과 은유 교육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