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방식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A Study on Content Selection Method of Literature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영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1호, 485~50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방식을 고찰하기 위해, ‘내용 체계’와 ‘목표’의 관계 및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가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데 있어 유의미한 범주인가에 대해 점검해 보았다. ‘목표’에서는 활동의 연계를 통해 능력이나 가치에 도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데 비해, ‘내용 체계’는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의 범주가 독립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목표’와 ‘내용 체계’가 서로 다른 체제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용 체계’의 각 범주가 변별성을 지녔는가와 관련하여 지식 범주의 교육 내용은 수용과 생산 활동과 독립적으로 제시되기 어렵고, 수용과 생산 활동 역시 활동의 나열될 뿐 활동의 지향점이 드러나지 않으며, 태도 범주 역시 단기간에 도달할 수 없는 교육 내용을 지식의 형태도 제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교육 내용이 지식과 유사한 형태도 기술되고 있는 점은 내용 범주의 준거가 교육 내용이 아니고 서술어에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내용 선정 방식을 체계화하려면, 목표, 내용 체계, 내용 요소의 연계가 중요하다고 보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checking out content selection method of literature curriculum composed of ‘knowledge, acceptance and production, attitude’ and at detecting the way of organic content selection in the mutual relation with educational contents. As a result of discus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determined educational content didn’t have confined direction because ‘content system’ of literature educational curriculum didn’t reflect on ‘objective, that educational content classification standard was a description, rather than educational content character, and that educational content focused on knowledge, most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it, this study presented the plan of category organization such as ‘aim’ centered on ‘ability and value, attitude’, ‘content system’ divided by ‘objective’, and content factor centered on ‘response-comprehension-evaluation’.
목차
1. 문제 제기
2. ‘목표’와 ‘내용 체계’의 관계
3. 내용 범주로서의 ‘지식, 수용과 생산, 태도’
4. 내용 선정 방식의 체계화 방안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오영진과 고골의 풍자극에 나타난 연극적 놀이 비교 연구
- 듣기-쓰기 통합 활동으로서 메모하기 지도의 가능성 탐색
- 낭독을 활용한 고전 시가 교수-학습 방법 모색
- 문화 입각점에 근거한 번역의 문제
-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언어문화 개선 프로그램의 욕설 현상 개선 효과
- 문학교육과정의 내용 선정 방식 연구
- 법정리 한역 지명 연구 Ⅴ
- 정보텍스트와 서사텍스트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반응 분석
- 생태적 관점에서 본 신화의 상호소통 방식과 의미
-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의 쟁점과 과제
- 사회적 독서와 비판적 문식성에 대한 고찰
- 중등 국어과 예비 교사들의 수업 질문 활용 양상 분석
- 미디어 생태계 이해를 통한 미디어교육 방향
- 문이과 통합형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일고찰
- 청소년 필자의 학문적 쓰기 발달에 필요한 바람직한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방법 연구
- 중국 조선족 초등학교 학생의 언어사용 실태에 기초한 조선어 교육 현황과 대안 연구
- 다문화 사회 전환에 따른 한국언어문화교육의 정책적 과제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연구
- 국어교육 내 매체 교육 변화 양상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이미지 생성 AI 삽화 활용에 대한 한국어 교원의 인식
- 명명 과제를 통한 L2 학습자의 단어 형성 과정 연구 - 사고구술 기법을 활용하여
-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요청-거절 화용 수업 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