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이용수 15
- 영문명
- Features of ghost story and picture in late Joseon dynasty: the case of CheonYeoRok & ghost icon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정은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7호, 703~73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고는 조선 후기 귀신을 다룬 문학과 그림의 특징 및 존재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대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조선 시대 관련 이데올로기의 흐름을 파악한 후, 예술 작품의 양상을 비교해서 살펴보았다. 결과 : 그 결과 조선 전기에는 신유학을 중심으로 무속의 귀신관을 억압했으나, 중기 이후 상황이 바뀐 것에 주목했다. 야담 및 <천예록>과 같은 대표 작품집에서 적극적으로 신이담을 다룰 뿐만 아니라, 그림 역시 상황이 달라졌다. 이어서 관련 작품의 실상을 살펴본 결과, 우선 다양성의 측면에서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천예록>은 신이한 이야기를 가감 없이 수록했고, 그림 역시 시왕도와 감로도를 비롯한 각종 도상에서 신, 령, 괴의 층위를 두루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구성을 보면, 이야기는 정형화를 탈피하여 귀신의 온갖 내력을 수용하고자 했으며, 도상은 이미지의 근거를 파악하기 위해 시각적 읽기의 과정이 수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조선 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은 적층 문화가 집약된 결과물로 삶과 죽음을 둘러싼 인간사의 궁금증과 상상력을 피력한 기이의 미학을 수립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the features of ghost story and picture in late Joseon Dynasty. Methods :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paper compare two genres after the looking into ideology. Conclusion : Korean have shared Chinese customs relating to ghost, but the situation was changed and the literati group started to enjoy the legends in CheonYeoRok that is the compilation of ghost story. And there were multiple types ghost icons including Ten-kings picture or Sweet dew picture. These different genre commonly showed the various version. And the story reveal all kinds of lineage of ghost without the fixed pattern in composition. And the pictures demand meticulous visual reading to understand the reason for being of ghost. Result : As a result, the ghost story and picture revealed the meaning of aesthetics of grotesque that express the curiosity and imagination about living and death as the integration of popular culture.
목차
1. 서론
2. 조선시대 귀신의 인식과 실현
3. ‘천예록’의 신이담과 귀신 그림의 특징
4. 기이의 상상력과 미학
5.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제재의 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백석 동화시와 마르샤크 동화시 비교 연구
- 읽기 상황에서의 동기 조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진천군 내 고유지명과 한역지명의 대조 연구
- 미래사회 변화와 작문 영역 교사 전문성
- 시조에 대한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가능성 연구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질문 만들기 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 제안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과제
-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유창성 진단 도구 개발 연구
- 웹 기반 한국어 능력 평가의 방향과 방법
-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관점으로 본 역사와 물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토픽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과 소설교육적 의의 고찰
- 한국어학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 카드뉴스를 활용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동
- 대만 내 한국어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 연구
- 영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논설문에 나타난 메타담화표지 사용 양상
-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