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이용수 3
- 영문명
- Free Expression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Educational Content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구영산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7호, 129~167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이 연구는 학생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한 후, 그 결과에 근거하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현의 자유와 관련한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학생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문을 제목, 목차, 초록, 핵심어를 바탕으로 추출한 뒤,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수행의 연도별 추이, 게재된 학술지의 성격, 세부 연구 영역 및 문제를 분석하였다. 다른 한편,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현의 자유와 관련한 교육 내용 및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두 가지 분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국어과 교육과정의 표현의 자유와 관련한 교육 내용의 한계 및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표현의 자유의 개념을 규정하는 방식이 협소하다. 둘째, 학생의 표현의 자유를 한정할 수 있는 타당한 기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결론 : 표현의 자유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 대비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관련 내용이 안고 있는 한계 및 문제점을 중심으로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more ultimately, it is intended to derive a direction for improving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Methods: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extracts research results on student freedom of expression based on the title, table of contents, abstract, and key words, and I analyzed them in terms of research performance by year, characteristics of published journals, and the personality of the research problems(themes).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of education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ourse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se two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Korean language and curriculum were derived. Results: First, the way to define the concept of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curriculum is narrow. Second, no valid standards have been established to limit students' freedom of expression. Conclusion: Focusing on the problems of the curriculum content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a future improvement direction was proposed.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론
3. 학생의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연구 동향 및 특징
4.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표현의 자유 관련 내용
5. 표현의 자유에 대한 연구 동향과 교육과정의 현황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제재의 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백석 동화시와 마르샤크 동화시 비교 연구
- 읽기 상황에서의 동기 조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진천군 내 고유지명과 한역지명의 대조 연구
- 미래사회 변화와 작문 영역 교사 전문성
- 시조에 대한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가능성 연구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질문 만들기 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 제안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과제
-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유창성 진단 도구 개발 연구
- 웹 기반 한국어 능력 평가의 방향과 방법
-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관점으로 본 역사와 물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토픽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과 소설교육적 의의 고찰
- 한국어학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 카드뉴스를 활용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동
- 대만 내 한국어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 연구
- 영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논설문에 나타난 메타담화표지 사용 양상
-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