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이용수 40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culturality and Perception of Key-competencies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태라 정해권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7호, 459~49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한국어 예비 교사들의 상호문화성과 교사의 핵심 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상호문화 교육 실천에 필요한 예비 교사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한국어 교육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중요도를 측정하고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상호문화성이 높을수록 교수학 지식, 문화 지식, 교육 공동체 참여, 교사 정체성, 문제 해결, 친화적 수업 관리, 활용 기술, 자기 관리 등의 역량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상호문화 교육 관련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결론 : 상호문화성이 낮을수록 언어 지식과 언어 수행 역량에 주목하고 다른 역량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양상이 나타나므로 예비 교사들의 상호문화성을 높이면서 상호문화 교육 개념과 목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상호문화 교육의 실천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culturality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teachers' key competencies and estimate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teacher training course related to intercultural education. Methods :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s. The SPSS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1)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high interculturality and the group with low interculturality were significantly explicit. 2) As the individuals' interculturality was getting higher,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ional competency, cultural competency, communitive involvement competency, problem-solving competency, intimate teaching competency, various media competency, and selfreflection competency increased positively. 3) The satisfactions with the present cultural education courses from the respondents were mostly low. Conclusion : The implications for this study are that the lower teachers' interculturality is, the more unimportantly they considered some key competencies, therefore, improved inter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목차
1. 서론
2. 상호문화 교육과 교사 핵심 역량
3. 연구 방법
4. 분석 및 연구 결과
5. 논의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제재의 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백석 동화시와 마르샤크 동화시 비교 연구
- 읽기 상황에서의 동기 조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진천군 내 고유지명과 한역지명의 대조 연구
- 미래사회 변화와 작문 영역 교사 전문성
- 시조에 대한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가능성 연구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질문 만들기 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 제안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과제
-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유창성 진단 도구 개발 연구
- 웹 기반 한국어 능력 평가의 방향과 방법
-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관점으로 본 역사와 물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토픽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과 소설교육적 의의 고찰
- 한국어학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 카드뉴스를 활용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동
- 대만 내 한국어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 연구
- 영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논설문에 나타난 메타담화표지 사용 양상
-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