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과제
이용수 34
- 영문명
- Features and Task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Korean Textbook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화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7호, 9~3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고, 차기 초등 국어 교과서의 개발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 새 교과서의 특징을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차기 초등 국어 교과서의 개발 과제를 제시하였다. 결과: 새 교과서의 특징으로 교육 보편성 차원에서 국어 교과 역량 함양, 인권 친화적인 국어 교과서를, 공교육의 책무성 차원에서 한글 책임 교육 시행, 교과 문식성 학습 활동을 들 수 있다. 또 특수 목적 단원 개발 차원에서 ‘한 학기 한 권 읽기’를 위한 독서 단원 신설, ‘체험 중심의 연극’을 위한 연극 단원 신설을, 학습자 중심 교육 강화 차원에서 학습자의 질문 생성과 해결을 강조한 교과서,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증진을 들 수 있다. 결론 : 국어 디지털 교과서 개발 시급성을 포함하여 차기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과제를 7가지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Korean textbook and to present the development tasks of the next elementary Korean textbook. Method :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textbook were divided into external and internal systems, and based on this, the development task of the next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 was suggested.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textbook can be suggest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universality of education, Korean language textbooks were created to foster Korean language teaching competency and human rights. In terms of accountability of public education, the implementation of responsible education for Hangul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ubject literacy were organized. In order to develop special purpose units, a reading unit was newly established for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and a new theater unit was newly established for ‘experience-oriented play’. In order to reinforce learner-centered education, textbooks emphasizing the creation and solving of learners' ques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reinforced. CONCLUSION : We proposed next-generation Korean textbook development seven tasks, including the urgency of developing Korean digital textbooks.
목차
1. 서론
2. 초등 국어 교과서 외적 체제의 특징과 의의
3.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중점과 의의
4. 차기 초등 국어 교과서 개발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제재의 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백석 동화시와 마르샤크 동화시 비교 연구
- 읽기 상황에서의 동기 조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진천군 내 고유지명과 한역지명의 대조 연구
- 미래사회 변화와 작문 영역 교사 전문성
- 시조에 대한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가능성 연구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질문 만들기 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 제안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과제
-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유창성 진단 도구 개발 연구
- 웹 기반 한국어 능력 평가의 방향과 방법
-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관점으로 본 역사와 물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토픽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과 소설교육적 의의 고찰
- 한국어학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 카드뉴스를 활용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동
- 대만 내 한국어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 연구
- 영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논설문에 나타난 메타담화표지 사용 양상
-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