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학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이용수 35
- 영문명
- Selection of Educational Vocabulary in Korean Linguistics Using Machine Learning: To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inguistic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남신혜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7호, 491~51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 개발의 일환으로서 국어학 분야를 전공하는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해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어휘 선정은 주요 내용어라고 볼 수 있는 명사, 동사, 형용사로 한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해당 학문 분야의 학술 텍스트로 대규모 말뭉치를 구축하였고 머신러닝 기법 중 하나인 텍스트랭크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어휘 목록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290개의 명사와 182개의 용언을 합하여 모두 472개의 교육용 어휘가 선정되었다. 이 연구는 최근 문서 요약을 위한 핵심 키워드 추출에 많이 사용되며 그 결과의 타당성이 폭넓게 인정되어 온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교육용 어휘를 선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학 분야에 우선적으로 이러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보았지만 향후 모든 학문 분야에서 동일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제까지보다 더 대규모 말뭉치에서 더 객관적인 방법으로 더 타당한 어휘 목록을 산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select educational vocabulary for foreign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inguistics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Vocabulary selection was limited to nouns, verbs, and adjectives that could be considered the main content words. To this end, a large corpus was constructed with academic texts in the field of study and a vocabulary list was constructed using a TextRank algorithm, one of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As a result, a total of 472 educational vocabulary were selected, including 290 nouns and 182 verbs and adjectives. This work is differentiated in that it use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which have widely recognized the validity of the results, to select educational vocabulary. Although this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first to the field of Korean linguistic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ame methodology will be applied in all academic fields in the future to produce a more relevant vocabulary list in a more objective way than ever in a larger corpu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어휘 선정 결과
4.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제재의 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백석 동화시와 마르샤크 동화시 비교 연구
- 읽기 상황에서의 동기 조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진천군 내 고유지명과 한역지명의 대조 연구
- 미래사회 변화와 작문 영역 교사 전문성
- 시조에 대한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가능성 연구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질문 만들기 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 제안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과제
-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유창성 진단 도구 개발 연구
- 웹 기반 한국어 능력 평가의 방향과 방법
-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관점으로 본 역사와 물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토픽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과 소설교육적 의의 고찰
- 한국어학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 카드뉴스를 활용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동
- 대만 내 한국어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 연구
- 영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논설문에 나타난 메타담화표지 사용 양상
-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