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과 소설교육적 의의 고찰
이용수 28
- 영문명
- A Study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escription and the Role of Description i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원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7호, 243~27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이 글은 묘사의 소설교육적 의의를 밝히고, 이를 고전소설교육의 국면으로 전환하여 여성영웅소설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 1)묘사의 개념을 서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교화한다. 2)묘사의 소설교육적 의의를 도출한다. 3)여성영웅소설에서 묘사의 위상을 밝히고, <이대봉전>에서 묘사의 역할을 분석한다. 결과: <이대봉전>의 묘사는 1)병렬적인 방식을 취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서사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고, 2)시각·청각적 표현을 활용한 감각적 묘사를 통해 독자가 상상력을 발휘하도록 하며, 3)인물의 감정을 풍경 및 사물에 대한 묘사를 통해 드러냄으로써 독자의 몰입을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결론 : 이 글은 묘사를 여성영웅소설을 감상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제안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나, 후속 논의를 통해 표현 방식 기저에 담긴 서술자의 의도 및 이념 등을 도출하는 것으로까지 논의를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description and to turn it into a phase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to reveal the role of the description in the heroine novel . Methods : 1) Elaborate the concept of descrip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 narrative. 2) Deriv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novel. 3) Identify the status of the description in the heroine novel and analyze the role of the description in . Results : The description of 1) allows readers to predict narratives in parallel ways, 2) allows readers to use their imagination through visual and auditory expressions, and 3) encourages readers to immerse themselves by revealing their emotions through the description of landscapes and objects which is related to the emotion of characters. Conclusion :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description as a new way to appreciate heroine novels, but it is necessary to elaborate the discussion by deriving the intention and ideology of the narrator through description.
목차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2. 묘사의 개념 및 위상
3. <이대봉전>의 묘사 방식 및 역할
4.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제재의 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백석 동화시와 마르샤크 동화시 비교 연구
- 읽기 상황에서의 동기 조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진천군 내 고유지명과 한역지명의 대조 연구
- 미래사회 변화와 작문 영역 교사 전문성
- 시조에 대한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가능성 연구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질문 만들기 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 제안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과제
-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유창성 진단 도구 개발 연구
- 웹 기반 한국어 능력 평가의 방향과 방법
-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관점으로 본 역사와 물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토픽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과 소설교육적 의의 고찰
- 한국어학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 카드뉴스를 활용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동
- 대만 내 한국어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 연구
- 영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논설문에 나타난 메타담화표지 사용 양상
-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