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이용수 33
- 영문명
- Online Disinformation of learners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sig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신윤경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27호, 337~36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허위정보의 개념을 밝히고, 학습자가 온라인 허위정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 온라인 허위정보의 개념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논의를 분석했다. 또한, 온라인 허위정보의 비판적 읽기 전략과 연관된 국어과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으며 제안할 읽기 전략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허위정보의 대응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했다. 결과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비판적 읽기 능력 함양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읽기 전략을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교수·학습 모형 설계로 확인하며 접근하기, 사실 관계 확인하며 읽기, 평가하며 읽기, 소통하며 더 찾아 읽기 단계를 제안하였다. 결론 : 온라인 허위정보의 문제는 현재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디지털 매체 읽기의 맥락 속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본다. 따라서 독자인 학습자 주체적으로 허위정보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확산적 논의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online false information and to support learners by designing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learners to cope with online false information. Methods :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concept of online false information were analyzed. In particular, Korean language an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strategies of online false information were analyzed, and reading strategies to be suggested were derived. I designed a critical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online false information. Results : Reading strategies that should be strengthened to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critically read false information online are presented as strategies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In addition to this, we proposed the steps to check and approach by designing a teaching/learning model, confirming facts, reading, evaluating, reading, communicating, and searching for further reading. Conclusion : The problem of online false information is regarded a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not only in the present but also in the context of continuously reading digital media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idespread discussion to suggest an educational method that allows learners, who are readers, to independently judge the authenticity of false information and critically read it.
목차
1. 서론
2. 온라인 허위정보의 개념과 시사점 도출
3. 온라인 허위정보의 비판적 읽기 전략과 교수·학습 모형 제안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15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제재의 교육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백석 동화시와 마르샤크 동화시 비교 연구
- 읽기 상황에서의 동기 조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진천군 내 고유지명과 한역지명의 대조 연구
- 미래사회 변화와 작문 영역 교사 전문성
- 시조에 대한 학습자의 심미적 체험 가능성 연구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질문 만들기 활동에 대한 개선 방향 제안
- 2015 개정 초등 국어 교과서의 특징과 과제
- 초등학교 1학년 읽기 유창성 진단 도구 개발 연구
- 웹 기반 한국어 능력 평가의 방향과 방법
-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 학문 문식성(disciplinary literacy) 관점으로 본 역사와 물리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토픽 네트워크를 활용한 한국어[KSL] 교육과정의 연구 동향 분석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 <이대봉전>에서의 묘사의 역할과 소설교육적 의의 고찰
- 한국어학 전공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 카드뉴스를 활용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 활동
- 대만 내 한국어학습자의 스테레오타입 연구
- 여성결혼이민자의 구어 어휘 사용 연구
- 학습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국어 교사의 교육 서비스 품질 요인 연구
- 영어 모어 화자의 한국어 논설문에 나타난 메타담화표지 사용 양상
- 조선후기 귀신 이야기와 그림의 실현 양상 및 특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