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시간 비대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 인출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40
- 영문명
- Effects of Verb Network Strengthening Treatment (VNeST) using Telepractice on Word Retrieval in Korean-Speakers with Non-Fluent Aphasia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소은(So Eun Kim) 라은영(Eun Young La) 성지은(Jee Eun Su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3, 629~64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의미역을 갖는 2항 동사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중재를 비대면으로 실시하여 동사 이름대기 능력, 문장 산출 능력과 더불어 전반적인 언어 능력에 향상이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는 좌반구 손상으로 인해 실어증이 발생한 중도-심도의 비유창성 환자 3명이 참여하였으며, 줌(zoom)을 통해 실시간 비대면으로 동사의미역강화중재(Verb Network Strengthening Treatment, VNeST)를 진행하였다. 중재 전, 후에 따른 중재 동사의 효과 크기와 중재 동사와 의미적 연관성이있는 비중재 동사의 일반화 효과를 비교하였고, 명사 이름대기 및 CIU 비율, 생성이름대기 능력, 실어증 지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간단한 설문을 통해 비대면 치료의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3명의 대상자 모두 중재 효과와 일반화 효과를 보였으며, 명사 이름대기 및 CIU 비율, 생성이름대기 능력, 실어증 지수 모두에서 수행이 증가하였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 모두 비대면 치료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비대면 VNeST를 통해 중재 동사 이름대기 능력이 향상되었을 뿐 아니라 의미역으로서 기능하는 명사 이름대기 능력도 향상되었고, 의미적 연관이 있는 비중재 동사로의 일반화 효과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문장 산출 능력의 향상을 확인해볼 수 있었으며, 이는 전반적인 언어 능력 증진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기존 영어권 선행 연구 및 국내 연구와 일치하는결과로, 비대면 동사 중재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Verb Network Strengthening Treatment (VNeST) is a semantic treatment that aims to improve lexical retrieval across a hierarchy of linguistic contexts, including sentences and discourse.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NeST using telepractice on Korean individuals with moderate to severe non-fluent aphasia and examine the advantages of telepractice treatment. Methods: Three Korean individuals with aphasia caused by a single lesion in the left hemisph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received VNeST via ZOOM in real time at their home. VNeST protocol consisted of 6 steps: step 1, generate three agents and themes for the target verb; step 2, read each scenario aloud; step 3, choose the appropriate case marker and answer three wh-questions about agent-theme pairs; step 4, judge semantic plausibility of sentences; step 5, confront naming on animation target verb task; step 6, repeat the prompts of Step 1 without cues.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employed, and effect sizes of the treatment were obtain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ll participants showes large effect sizes, 2) all participants showed a generalization effect, 3) the CIU rate of all participants improved, 4) all participants showed increased score or performance on language assessment task, 5) all participants and their careers responded that they were very satisfied with the telepractice treatment.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VNeST via telepractice is effective as off-line treatment in promoting generalization from single word naming in person with moderate to severe non-fluent aphasia.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독증 성인 파닉스 중재 사례 연구
-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군을 위한 스토리텔링 검사 도구 개발 기초 연구
- 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단어찾기 행동 산출 비율과 정보전달 능력의 상관
-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평가와의 상관
-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 의사소통장애의 평가 및 진단에서 인공지능 적용과 성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실시간 어휘 학습 양상 및 관련 요인 탐색
-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의미지식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특성 및 오류분석
- 이야기 유형 및 처리부하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 및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 The Korean Version of the Right Hemisphere Language Battery: Adaptation and Reliability
- 실시간 비대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 인출에 미치는 효과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오류패턴 특성
- 초등 1-6학년 난독증 아동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비단어 따라말하기능력
- 노화에 따른 일반 성인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 능력 잠재성장모델 분석
- 초등 3-6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