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이용수 267

영문명
Language Ability to Predict Subtypes of Speech Sound Disorder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피민경(Minkyeong Pi) 하승희(Seunghee Ha)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3, 658~670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을 하위 유형별로 분류하여 어휘, 문법, 화용, 초기 문해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언어 능력, 즉 어휘, 문법, 화용, 초기 문해 가 Dodd의 감별진단모델에서 제시한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3-9세 말소리장애 아동 62명을 조음장애, 음운지연, 일관적/비일관적 음운장애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어휘와문법 측면에 대해 직접 평가를 진행하였고 화용과 초기 문해 측면에 대해 부모 보고를 받아 수행력을 판단하였다. 결과: 말소리장애 아동의 하위 유형에 따라 수용/표현 어휘, 수용/표현 문법, 초기 읽기 수행력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화용과 초기 쓰기에는 유의한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경향성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조음장애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언어에서 유의하게 우수한 수행력을 보였고 비일관적인 음운장애 아동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말소리장애 아동을 가장 잘 예측하고 취약함이 잘 드러나는 언어 영역이 문법 측면임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의 어휘, 문법, 화용, 초기문해 측면을 모두 조사하고 살펴본데 의의가 있으며, 임상 현장에서 말소리장애 아동의 문법 영역의 이해와 표현에 대해 자세히 평가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vocabulary, grammar, pragmatics, and early literacy skills according to subgroups of speech sound disorders (SSDs). Additionally,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language ability could predict the subtype of SSDs suggested by Dodd’s model for differential diagnosis. Methods: Sixty-two children with SSDs aged 3-9 years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articulation disorders (AD), phonological delays (PD), and consistent/inconsistent phonological disorders (CPD/IPD). Vocabulary and grammar skills were evaluated, and pragmatics and early literacy skills was evaluated based on parental reports. Results: Children with SSD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eptive/expressive vocabulary, receptive/expressive grammar, and early reading performanc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agmatics and early writing. In general, children with AD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language than children within the other SSD subgroups, and the children with IPD showed lowest performance. This study showed that grammar was the best predictor of the subtypes of children with SSDs and was most vulnerable to children with SSDs.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nvestigating and examining all aspects of language - vocabulary, grammar, pragmatics, and early literacy - of children with SS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ception and expression of the grammar skills of children with SSDs should be evaluated in the clinical fiel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피민경(Minkyeong Pi),하승희(Seunghee Ha). (2022).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 (3), 658-670

MLA

피민경(Minkyeong Pi),하승희(Seunghee Ha).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7.3(2022): 658-6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