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화에 따른 일반 성인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이용수 219
- 영문명
- Voice Onset Time in Healthy Young and Old Adul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신준영(Junyoung Shin) 김예은(Yeeun Kim) 조예림(Yerim Cho) 이유진(Youjin Lee) 김주은(Jueun Kim) 이영미(Youngmee Lee)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3, 678~688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노화 과정에 따른 조음조절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정상 청년층과 노년층의 성대진동시작시간(voice onset time, VOT)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만 65세 이상의 정상 노인 16명과 만 18세에서 39세의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과제는 발성유형과 조음위치에 따른 9개의 파열음과 /ㅏ/ 모음으로 조합한 VCV 문맥의 2음절로 구성하였다. 대상자의 음성자료는 Praa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집단 간 성대진동시작시간의 차이를 살피기 위해 VOT 평균값을, 집단간 성대진동시작시간의 변이성의 차이를 살피기 위해 VOT의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oV)를 사용하였다. 결과: 연령, 발성유형, 조음위치에 따른 일반 성인의 VOT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년층의 VOT 평균값은 청년층에 비해 컸으며, 조음위치 상으로는 연구개음에서, 발성유형 상으로는 격음에서 가장 유의하였다. 연령과 발성유형에 따른 일반 성인의 VOT 변동계수에 유의한 차이가나타났다. 노년층의 VOT 변동계수 값은 청년층에 비해 컸으며, 발성유형상으로는 평음에서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성대진동시작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더 불규칙적인 조음 양상을 보였다. 이는 노화로 인한 발성-조음 메커니즘의 협응 능력 저하와 구강 운동 제어 기능의 약화로 인한 결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ge related changes in articulatory control by examin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young and elderly adults in their voice onset time (VOT). Methods: 16 adults over the age of 65 and 16 adults aged between 18- 39 years ol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9 plosives, categorized by place of articulation and phonation type, paired with the vowel /a/ to form 2 syllable VCV non-words. Participants’ voice samples were analyzed using Praat. VOT mean was us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in VOT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CoV) was used to examine group differences in VOT variability.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T mean according to age group, phonation type, and place of articulation. The elderly adults had a longer VOT compared to the young adult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for place of articulation in velar plosives and significant differences for phonation type in aspirated plosiv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T CoV according to age group and phonation type. The elderly adults had higher VOT and CoV compared to the young adults with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nis plosiv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elderly adults have longer VOT durations and irregular articulatory control, reflected by higher VOT variability, compared to younger adults. These results may reflect age related declines in the coordination of the speech mechanism and reduced oral motor control.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독증 성인 파닉스 중재 사례 연구
-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군을 위한 스토리텔링 검사 도구 개발 기초 연구
- 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단어찾기 행동 산출 비율과 정보전달 능력의 상관
-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평가와의 상관
-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 의사소통장애의 평가 및 진단에서 인공지능 적용과 성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실시간 어휘 학습 양상 및 관련 요인 탐색
-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의미지식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특성 및 오류분석
- 이야기 유형 및 처리부하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 및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 The Korean Version of the Right Hemisphere Language Battery: Adaptation and Reliability
- 실시간 비대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 인출에 미치는 효과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오류패턴 특성
- 초등 1-6학년 난독증 아동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비단어 따라말하기능력
- 노화에 따른 일반 성인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 능력 잠재성장모델 분석
- 초등 3-6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개념을 둘러싼 국내 담론 경쟁 양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