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86
- 영문명
- The Effects of Vocabulary Intervention Bas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on the Vocabulary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현아(Hyuna Kim) 김자경(Ja-Kyoung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3, 541~5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보다 효과적인 어휘 중재 방안을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초등학교 3-4학년 읽기장애 학생 3명을 대상으로 27개의 형태소와 80개의 어휘에 대한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를 총 1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이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단계에서 단어 수준과 문장 및 문단 수준에서의 어휘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모두 기초선 단계에 비하여 중재 단계에서 단어 수준과 문장 및 문단 수준에서의어휘력 성취율이 증가하였으며, 중재 종료 후에도 효과가 유지되었다. 논의 및 결론: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는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 향상에 효과적이며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cabulary intervention bas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on the vocabulary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Methods: A multiple baselin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were thre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two 3rd graders and one 4th grader). Vocabulary tests at the word level and sentence/paragraph level were conducted at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The vocabulary intervention bas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consisted of 18 sessions (40-50 minutes for a session, 3 sessions per week) and five stages each session. Results: All subjects improved their vocabulary ability in both the word level and the sentence/paragraph level. Furthermore, the vocabulary scores of the subjects during the maintenance phase were close to the scores of the intervention phas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vocabulary intervention bas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i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vocabulary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structure of vocabulary helps learners with reading disabilities to improve som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vocabulary and also has positive effects on the ability to read and understand tex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독증 성인 파닉스 중재 사례 연구
-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군을 위한 스토리텔링 검사 도구 개발 기초 연구
- 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단어찾기 행동 산출 비율과 정보전달 능력의 상관
-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평가와의 상관
-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 의사소통장애의 평가 및 진단에서 인공지능 적용과 성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실시간 어휘 학습 양상 및 관련 요인 탐색
-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의미지식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특성 및 오류분석
- 이야기 유형 및 처리부하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 및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 The Korean Version of the Right Hemisphere Language Battery: Adaptation and Reliability
- 실시간 비대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 인출에 미치는 효과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오류패턴 특성
- 초등 1-6학년 난독증 아동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비단어 따라말하기능력
- 노화에 따른 일반 성인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 능력 잠재성장모델 분석
- 초등 3-6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