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이용수 630
- 영문명
- Research Trends Regarding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Impairment of Infancy and Toddlerhood: From 2012 to 2021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홍경훈(Gyung-Hun Hong) 양희재(Hui Jae Yang) 오은별(Eun-Byel Oh) 이루다(Roodah Yi)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3, 445~46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연구를 대상으로 최근 10년간 영유아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 CSD (Communication Science & Disorders)와 영어권 학술지 JSLHR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에 발표된 영유아 언어장애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대상, 시간관점, 관찰방법, 독립변인, 종속변인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각 유형의 출판 빈도 및 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두 학술지 모두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연구유형의 측면에서 몇 가지 차이가 있었다. 국내 연구는 횡단연구가, 영어권의 연구는 종단연구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국내 연구는 대부분이 기술연구였으며 실험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권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독립변인들이 비교적 고르게 사용되었으나, 국내 연구에서는 대상자의 특성과 관련된 독립변인들이 더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다. 두 학술지 모두 종속변인으로 주로 표현언어와 관련된 변인들을 사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최근 10년간 국내 영유아 언어장애 관련 연구는 과거에 비해 연구 수와 연구유형의 다양성이 모두 증가하였으나, 영어권의 연구와 비교했을 때에는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의 영유아 언어장애 관련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Korean and English research trends regarding language development and language impairment,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later research. Methods: Sixty-five Korea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Communication Science & Disorders and 129 English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ubject, time dimension, observational method,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The frequency and rate of publication of each type were yielded. Results: Nearly half of the subjects were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bu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research in the two journals. Cross-sectional studies had higher rates in Korean research, and longitudinal studies had higher rates in English research. In Korean journals, most articles were descriptive studies, with very few experimental studies. In English journals,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relatively evenly, whereas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were used at higher rates in the Korean journals. Both journals mostly used variables associated with expressive language as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 Although more research has been published and the types of studies have become more diverse than in the past, during the recent decade in Korea the amount and types of studies are limited when compared to English research. In this regard,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in which future research related to infant language disorder should proce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독증 성인 파닉스 중재 사례 연구
-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군을 위한 스토리텔링 검사 도구 개발 기초 연구
- 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단어찾기 행동 산출 비율과 정보전달 능력의 상관
-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평가와의 상관
-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 의사소통장애의 평가 및 진단에서 인공지능 적용과 성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실시간 어휘 학습 양상 및 관련 요인 탐색
-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의미지식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특성 및 오류분석
- 이야기 유형 및 처리부하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 및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 The Korean Version of the Right Hemisphere Language Battery: Adaptation and Reliability
- 실시간 비대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 인출에 미치는 효과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오류패턴 특성
- 초등 1-6학년 난독증 아동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비단어 따라말하기능력
- 노화에 따른 일반 성인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 능력 잠재성장모델 분석
- 초등 3-6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