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야기 유형 및 처리부하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 및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이용수 293
- 영문명
- An Eye-Tracking Study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Reading Processing in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according to Story Type and Processing Load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백수정(Soo Jung Baek) 임동선(Dongsun Y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3, 518~540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집단 간 이야기 유형, 처리부하 조건에 따라 읽기 수행력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읽기 능력을 보다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실시간 읽기 처리 과정과 오프라인 처리 과정을 같이 살펴보았고, 언어적 덩이짓기 능력을 측정하여읽기이해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3-4학년의 아동 26명(읽기부진 11명, 일반아동 15명)이 참여하였다. 읽기 과제에서는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읽기 처리 과정을 분석하였고, 사실적 정보이해와 추론 질문을통해 읽기이해력을 평가하였으며, 덩이짓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단어목록회상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집단 간 이야기 유형, 처리부하 조건에 따라 읽기이해력(사실적 정보이해, 추론)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읽기 처리 과정 변수에서 전체적으로 집단과 이야기 유형 간 이차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시선고정 양상을 heat map을 통해 확인한 결과, 낮은 처리부하 조건에서 읽기부진 아동의 시선고정이 두 이야기 모두 처음부터 끝까지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관분석을 통해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에서의 덩이짓기 능력 활용 정도가 일반 아동과는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분석한 읽기 처리과정을 근거로 학습 자료를 간략히 제시하는 것이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임상적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reading performance between two groups of children,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RD)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D), depending on story types and length of given text. To comprehensively evaluate children’s reading ability, both offline and online processing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chunking skill was measur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and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Twenty-six children (11 with RD and 15 with TD) in 3rd to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o experimental tasks were conducted: a reading comprehension task using an eye-tracker and a word list recall task. While reading the text, children’s eye movem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online reading processing. After they finished reading, they were asked to answer the offline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depending on the group, the story type, and the level of processing load. For the fixation,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and the story type. Also, as a result of heat map analysis, the fixation of the RD group wa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texts given at low processing load.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terns of using chunking skills in reading comprehension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has a clinical implication in that it suggested that presenting reading materials concisely could be one of the ways to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RD group.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독증 성인 파닉스 중재 사례 연구
-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군을 위한 스토리텔링 검사 도구 개발 기초 연구
- 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단어찾기 행동 산출 비율과 정보전달 능력의 상관
-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평가와의 상관
-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 의사소통장애의 평가 및 진단에서 인공지능 적용과 성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실시간 어휘 학습 양상 및 관련 요인 탐색
-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의미지식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특성 및 오류분석
- 이야기 유형 및 처리부하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 및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 The Korean Version of the Right Hemisphere Language Battery: Adaptation and Reliability
- 실시간 비대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 인출에 미치는 효과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오류패턴 특성
- 초등 1-6학년 난독증 아동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비단어 따라말하기능력
- 노화에 따른 일반 성인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 능력 잠재성장모델 분석
- 초등 3-6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