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이용수 233
- 영문명
- Interpretation Accuracy and Acceptance according to AAC Types and Message Error Typ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최지우(Jeewoo Choi) 백경랑(Kyungrang Baik) 김영태(Young Tae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3, 577~58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AAC 매체 유형(하이테크, 로우테크) 및 오류 유형(생략, 대치, 도치)에 따라 메시지 산출 시 의사소통 상대자의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상생활 표현을 바탕으로 오류 메시지 스크립트를 구성하여 AAC 매체 유형별로 생략, 대치, 도치 오류 영상을 제작하였다. 연구참여자는 AAC 사용자 가족집단 30명, AAC 무경험자 집단 30명이었으며, 연구참여자는 영상을 시청하고 해석 정확도, 수용도 및 태도에 대한 온라인 설문에 답변하였다. 해석 정확도와 수용도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삼원혼합분산분석을 활용하였으며, 태도의 경우 이원혼합분석을 통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메시지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에서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오류 유형에 따른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석 정확도에서는 도치, 대치, 생략 오류 순으로 높은 점수를, 수용도에서는도치, 생략, 대치 순으로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AAC 사용자에 대한 태도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는 AAC를 통한 의사소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AAC 사용자에 대한 직접 중재와 의사소통 상대자에 대한 간접중재가 함께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AAC 사용자가 생략 및 대치 오류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중재와 함께, 의사소통 상대자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find which AAC type(high-tech, low-tech) and error type (omission, substitution, and inversion) is more influential to communication partners’ accuracy, acceptance, as well as the attitude of the AAC users. Methods: The error message scripts were constructed based on everyday life expressions; and omisson, substitution, and inversion error videos produced by high-tech and low-tech AAC.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AAC users’ family groups and 30 AAC inexperienced groups. The study participants watched the video and answered online questionnaires regarding interpretation accuracy, acceptance, and attitude of the AAC users. A three-way mixed ANOVA was us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accuracy and acceptance; and in the case of attitude, the difference was analyzed through a two-way mixed ANOVA.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accuracy and acceptance of message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AAC type and message error type, however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error typ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erms of accuracy analysis, high scores were recorded in the order of inversion, substitution, and omission error; and in the case of acceptance, high scores were recorded in the order of inversion, omission, and substitu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AAC users between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for communication through AAC to be successful, direct intervention for AAC users and indirect intervention for communication partners must be provided together. Training for communication partners should be provided, along with interventions to minimize omission and substitution errors by AAC user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독증 성인 파닉스 중재 사례 연구
-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군을 위한 스토리텔링 검사 도구 개발 기초 연구
- 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단어찾기 행동 산출 비율과 정보전달 능력의 상관
-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평가와의 상관
-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 의사소통장애의 평가 및 진단에서 인공지능 적용과 성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실시간 어휘 학습 양상 및 관련 요인 탐색
-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의미지식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특성 및 오류분석
- 이야기 유형 및 처리부하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 및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 The Korean Version of the Right Hemisphere Language Battery: Adaptation and Reliability
- 실시간 비대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 인출에 미치는 효과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오류패턴 특성
- 초등 1-6학년 난독증 아동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비단어 따라말하기능력
- 노화에 따른 일반 성인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 능력 잠재성장모델 분석
- 초등 3-6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개념을 둘러싼 국내 담론 경쟁 양상에 대한 비판적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