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난독증 성인 파닉스 중재 사례 연구
이용수 283
- 영문명
- The Effect of Phonics Intervention for Adult with Dyslexia: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기주(Ki-ju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7. no.3, 558~576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음운처리기술 기반 파닉스 중재가 난독증 성인의 음운인식, 해독, 철자쓰기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와 난독증 성인의 철자 오류 분석과 음운인식 단위별/과제별 향상 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은 만 46세의 난독증 성인 여성으로, 음운처리기술 기반 파닉스 중재를 22회기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한 음운인식, 해독, 받아쓰기 평가를 기초선 3회기, 중재22회기, 유지 3회기 총 28회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음운처리기술에 기반한 파닉스 중재가 난독증 성인의 음운인식 능력과 해독의자동성, 철자쓰기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철자 오류 정밀 분석 결과 단모음, 기본 자음, 기본 종성 오류를 가장 많이 보였으며, 음운인식 단위와 과제별 오류 분석 결과, 탈락, 합성, 대치, 변별 과제 순으로 어려워하였으며, 변별 과제 중에서 종성 변별을 가장 어려워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난독증 성인에 대한 인식 증대 및 파닉스 중재 방향을 제공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based phonics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phonological awareness, decoding, and spelling in adults with dyslexia.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ascertain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decoding, spell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in adults with dyslexia. Methods: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46-year-old adult female with dyslexia, and a single subject experiment research method was used. An intervention program for phono-logical awareness, decoding, and spelling was conducted 28 times in total (3 baseline sessions, 22 intervention sessions, and 3 maintenance sessions) and her performance was assessed with assessments modified by the researcher.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based phonics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decoding, spell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A detailed analysis of spelling errors in the adult with dyslexia revealed that errors for single vowels, basic consonants, and basic final consonant were the most common. A detailed analysis of errors by phonological awareness unit and task showed struggles with - in order of difficulty - deletion, blending, substitution, and discrimination. Among the discrimination tasks, final consonant discrimination was the most difficul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adults with dyslexia and intervention program for them.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난독증 성인 파닉스 중재 사례 연구
- 형태소 중심 어휘 중재가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 신경언어장애군을 위한 스토리텔링 검사 도구 개발 기초 연구
- 영유아기 언어발달 및 언어장애 연구 동향: 2012년부터 2021년까지
- 경도인지장애와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단어찾기 행동 산출 비율과 정보전달 능력의 상관
- 후두과긴장의 중증도와 주관적인 음성평가와의 상관
- AAC 매체 유형 및 메시지 오류 유형에 따른 해석 정확도 및 수용도 연구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에서 부모(의) 언어 입력 특성
- 말소리장애 하위 유형을 예측하는 언어 요인 탐색
- 의사소통장애의 평가 및 진단에서 인공지능 적용과 성과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학령전기 아동의 실시간 어휘 학습 양상 및 관련 요인 탐색
- 초등 저학년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의미지식에 따른 문단글 읽기유창성 특성 및 오류분석
- 이야기 유형 및 처리부하 조건에 따른 초등학교 읽기부진 아동의 읽기이해력 및 읽기 처리 과정에 대한 시선추적연구
- The Korean Version of the Right Hemisphere Language Battery: Adaptation and Reliability
- 실시간 비대면 동사의미역강화중재(VNeST)가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 인출에 미치는 효과
- 말소리장애 하위유형별 오류패턴 특성
- 초등 1-6학년 난독증 아동의 음운인식, 빠른 이름대기, 비단어 따라말하기능력
- 노화에 따른 일반 성인의 성대진동시작시간 특성
- 6-12세 아동의 국어와 수학 학업수행 능력 잠재성장모델 분석
- 초등 3-6학년 난독증 아동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언어능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육과정부 부장교사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경기도 A시 교육지원청 관내 12개교를 대상으로
- 교육발전특구 추진과정에 나타난 일반행정과 교육행정 간 의사결정과정 분석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