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상콘텐츠에 나타난 정조 인물 재현 양상

이용수 376

영문명
Aspects of the reproduction of the Jeongjo figure in video content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재빈(Lee Jaebin) 장안영(Jang Anyo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3권 4호, 423~45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영화,드라마에 나타난 정조 인물 재현 양상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정조 콘텐츠들의 서사구조는 그의 불우한 어린 시절과 왕이 되기까지의 시련 등 드라마틱한인생의 과정을 담고 있다.여기에서 콘텐츠로써의 흥미를 이끌어 내는 것은 작자에 따라 상상력이 덧붙여지면서 그 의미가 달리 해석된다는 것인데 그것이 콘텐츠가 갖는하나의 가치라 할 수 있다. 1990년대 이전까지는 정조에 대한 관심이 많지 않았다.이보다도 정조 주변 인물인 ‘사도세자’,‘홍국영’,‘혜경궁 홍씨’,‘영조’ 등에 대한 소재로 제작되었는데,이들의 삶이 훨씬 드라마틱하기 때문에 매력적인 소재로 삼을 수 있었던 것이다.그러다가 1993년 이인화의 소설<영원한 제국>이 출간되면서 ‘개혁 군주’의 이미지로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고 이후 개혁 군주의 정조로서 다양하게 콘텐츠화되었다.이로 인해 2000년대까지 정조 열풍이 불었으며 1990년대 중반 이후 정조가 등장한 대부분의 콘텐츠는 이 소설의 영향 아래 생산되는 과정을 거쳤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정조 콘텐츠가 단순한 역사적 이야기로 연출되지 않고 역사적상상력을 가미해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어두운 분위기로,익숙한 서사구조로 연출하였던 기존의 사극과는 다른 매력을 선보인 것이다.이는 분명히 시대적인 흐름에 편승하는 것과 시대적 상황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그것은 결국 감상하는 시청자들에게 재미와 감동을 줄 수 없다면 문화콘텐츠가 계속해서 창작되지 않는다는것을 의미한다.따라서 정조라는 스토리텔링적 요소를 가진 역사적 인물과 이를 바탕으로 한 상상력이 더해질 때 콘텐츠 자체의 흥미로움과 더불어 역사에 대한 재고도 함께 이루어지리라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production of the character, Jeongjo, in movies and dramas.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Jeongjo content contains the dramatic course of his unhappy childhood and the ordeal he had to undergo to become a king. What draws interest in the content here is that the meaning is interpreted differently by writers based on their imagination, value to the content. Until the 1990s, there was not much interest in Jeongjo. Rather, it was ‘Prince Sado(思悼世子),’ ‘Hong Gukyoung,’ ‘Hong Hyegyeonggung,’ and ‘Youngjo’ who were close to Jeongjo thar was the subject matter. Then, in 1993, when Lee Inhwa’s novel, Eternal Empire was published, he began to emerge anew as a ‘reform monarch.’ Since then, it has been converted into various contents highlighting the monarch’s zeal. This led to a craze for Jeongjo until the 2000s. Most of the content produced after the mid-1990s was influenced by this novel. In modern times, the content of Jeongjo’s life has aroused the public’s interest with the addition of the historical imagination rather than the simple historical story. With its dark atmosphere, it had a different charm from existing historical dramas, which had a familiar narrative structure. This can be seen as riding with the trend and representing the mood of the times. It means that cultural content cannot be created unless it provides a fun and emotional experience to the viewers. Therefore, when the historical figure, Jeongjo, is added together with the storytelling element and imagination,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reconsideration of history together with an interest in the content itself.

목차

1. 머리말
2. 정조 인물 관련 콘텐츠 양상
3. 영상콘텐츠에서 재현된 정조 이미지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빈(Lee Jaebin),장안영(Jang Anyoung). (2022).영상콘텐츠에 나타난 정조 인물 재현 양상. 리터러시 연구, 13 (4), 423-451

MLA

이재빈(Lee Jaebin),장안영(Jang Anyoung). "영상콘텐츠에 나타난 정조 인물 재현 양상." 리터러시 연구, 13.4(2022): 423-4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