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온라인 대학 글쓰기 교육과 자기주도학습

이용수 401

영문명
Online college writing educ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미정(Lee Mij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3권 4호, 191~21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으로 대학은 수업 결손을 막고 안정한 방역을 유지하기 위해 전면 비대면 수업을 시행했다.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되는 상황에서 수업의 효능감의 측면에서 자기주도 학습은 주요한 전제이다.자기주도 학습이란 교육자가 주도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는 적극적인 학습 과정을 의미한다.지식 기반 정보화 사회에서는 정보와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생산 과정의 역량이 중요하다.따라서 학습의 수동성을 극복하고,문제를 설정·해결하는 적극성의 측면에서자율성,창의성과 더불어 자기 주도적 역량은 온라인 환경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어 왔다. 비대면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주도 학습 활동에 대한 강의안은 개별 학습을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 수업안에 대한 쇄신에서부터 출발했다.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친밀도를 전제로 문제해결 중심의 단계별 프로젝트 참여 수업을 고안했다.핵심어,가주제,개별 주제로 이어지는 단계별 학습 목표와 조별 모임을 통한 상호협력의 강의안을 구성했다.학생들은 상호 존중에 기반을 둔 조별 모임을 통해 학습 과정을 적극적으로 주도해 나갔다.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과정이 전제된 피드백 역시 상호보완적 효과를 가져왔다.이는 결과적으로 특정 주제 영역에 대한 심화된 지식과 맥락을 강화시켰다.학생들은 상호협력과 문제해결의 과정에서 성취감을 드러냈고,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왔다.자기주도 학습은 자기조절능력의 결과라기보다 문제해결을위한 팀 활동의 상호 소통의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상호소통을 강화하고 단계별 학습 전략을 통해 효능감을 성취했다는 점에서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 참여 확대를 고안해야 한다.이는 자기주도 학습 활동으로 이어지며,교육 목표를 완성하는 동력이 된다.학습자 간 상호 존중의 과정은 성공적인 문제해결을 낳는다.학생들이 온라인 환경에서 자기주도 학습이 가능하다고 인식한 것은수업에 있어 시·공간의 제약보다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 체계를 적극적으로 구축해야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Du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COVID-19), the university implemented nonface-to-face classes to prevent class loss and maintain stability despite quarantine. In a situation where online classes are becoming routin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efficacy of classes.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is essential for writing 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refers to an active learning process in which students take the initiative to acquire knowledge. This study is important as a proactive learning process must be premised for online classes. Writing classes involve a self-direction since it is required for the completion of a piece of writing. However, students feel the burden of communication, and the instructor feels the burden of a large number of people. This was found to be a phenomenon in which learning management was hindered and a sense of isolation deepened. Self-directed learning activities in online classes were established as a process of mutual cooperation through step-by-step learning goals and group meetings. This, in turn, strengthened deep knowledge of specific subject areas and the knowledge of social context. The survey also showed similar results. Students showed a sense of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mutual cooperation and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is not an outcome that must be accomplished alone. Self-directed learning becomes possible when combined with problem-solving team work based on respect.

목차

1. 서론
2. 자기주도학습과 글쓰기 교육 과정
3.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글쓰기 강의안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정(Lee Mijung). (2022).온라인 대학 글쓰기 교육과 자기주도학습. 리터러시 연구, 13 (4), 191-215

MLA

이미정(Lee Mijung). "온라인 대학 글쓰기 교육과 자기주도학습." 리터러시 연구, 13.4(2022): 191-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