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비판적 고찰 및 학술적 오류 정정

이용수 311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f Preceding Researches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nd Correction of Academic Errors - Concentrating on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II) :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Gisaeng Association] by Suh Jiyoung (2005)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정남(Lee Jeongnam)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3권 4호, 385~42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연구들 가운데서지영(2005)의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Ⅱ)-‘기생조합’의 성격을 중심으로」를 중심으로,『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생 관련 서류’와 ‘창기 관련 서류’의 착각·오독(誤讀)으로 인해 파생된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과 왜곡된 내용들을 당대의 사료들과『서류철』 원문의 정확한 해독과 분석을 통해서 객관적이고 실증적으로 조목조목 규명하였다. 서지영(2005)의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Ⅱ)-‘기생조합’의 성격」에는 무엇보다도1.‘기생(妓生)≒창기(매음녀)’ 즉 ‘기생(妓生)은 창기(娼妓)와 유사한 존재’ 또는 ‘기생=매음녀’라는 근본적으로 왜곡된 인식 하에서 모든 논지를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심각한 문제점이고,2.‘공창제도(公娼制度)의 범주 밖에 위치해있던 기생(妓生)’ 을 ‘공창정책 하의 통제·관리 대상’으로 왜곡,3.‘한성창기조합’을 ‘한성기생조합’으로 완전히 오인(誤認)하여 “‘한성기생조합’과 ‘한성창기조합’은 ‘동일한 집단’이었다”, “‘한성기생조합’은 실질적으로 창기와 관기(官妓)들이 혼합된 형태의 조직이었다”라고 왜곡,4.논문의 주제인 ‘기생조합의 성격’을 고찰하면서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기생 관련 문서’가 아닌 ‘창기 관련 문서들’에서 그 해답을 찾는 논리적 모순및 오류,5.‘기생’에 관한 내용과 ‘창기’에 관한 내용이 뒤죽박죽으로 섞여 있어 ‘기생조합의 성격’에 관한 고찰도 아닌 ‘창기조합의 성격’에 관한 고찰도 아닌 애매한 연구물로 잔존,6.35년이라는 긴 식민지시기 동안의 ‘기생조합(권번)의 성격’ 규정함에 있어 극소수의 자극적이고 네거티브한 기사를 대표로 한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7.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에 있어서 상업적 이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국가와 국민을위해 ‘순수한 취지와 의도’로 지속해온 고아원,자연재해,조산부양성소 등을 위한 기생들의 ‘자선 공연활동’을 단지 “풍기문란의 원인 제공자로 인식하던 당대 사회의 관습적 ‘시선’을 의식한 대응적 행위”,“대외 이미지 개선을 위한 활동”으로 치부·왜곡시키는 등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과 왜곡된 내용들이 만연하다. 결론적으로 서지영(SuhJiyoung)의 일련의 연구인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 (Ⅰ),(Ⅱ), (Ⅲ)」은 제목이 ‘식민지 시대(식민지시기,일제강점기)’의 ‘기생 연구’이기 때문에 기생관련 연구뿐만 아니라 공창제도,젠더,섹슈얼리티,페미니즘,성매매제도 등에서도자주 인용되곤 했는데,최근의 연구들에 의해 밝혀진 바와 같이 서지영(SuhJiyoung) 의 저작물들은 ‘전문 가무연행자이자 예술인(藝術人)인 기생(妓生)’에 대한 다양한 학술적 오류들과 왜곡된 내용들이 만연해있기 때문에 ‘식민지시기의 기생 연구’를 대표하기에는 부적절하다.즉 현재까지도 ‘식민지시기의 기생(妓生)은 이러했다’ 또는 ‘식민지시기의 기생조합(권번)의 성격은 이러했다’라고 정의 내릴만한 제대로 된,실증적이고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식민지 시기(시대)의 기생 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따라서 이에 관한 연구적 시도가 시급 필요한 시점이며,서지영(SuhJiyoung)의 논문들을인용함에 있어서는 연구자 스스로가 추가적이고 철저한 검증을 통해 학술적 타당성을 충분히 확보한 후 이를 인용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Among the researches that actively utilized bibliographies o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this study concentrated on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II) :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Gisaeng Association] by Suh Jiyoung (2005). This study interpreted and analyzed historical records and bibliographies of the time objectively and empirically to correct academic errors and distorted facts caused by the misunderstanding and misreading of the Gisaeng and prostitute-related documents in [Records of Gisaeng and Changgi].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II) : Focusing on Characteristics of Gisaeng Association] by Suh Jiyoung (2005) involved numbers of academic errors and distorted facts as follows : 1. All discussions were made under the fundamental misconception that Gisaeng and prostitute are similar or equivalent concepts, 2. “Gisaeng” who were not included in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were distorted as persons who had to be controlled and managed under the state-regulated prostitute policy, 3. “Hanseong Prostitute Association” was completely mistaken as “Hanseong Gisaeng Association,” and were regarded as the same group including both prostitutes and official Gisaeng at the same time, 4. The research committed logical contradiction and error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isaeng Association” in the documents related to prostitutes instead of documents related to Gisaeng in the bibliographies on [Records of Gisaeng and Prostitute], 5. The contents related to Gisaeng and prostitutes were mixed up and remained as incomplete research that failed to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Gisaeng Association and Prostitute Association, 6. The research committed an error of hasty generalization by focusing on few controversial and negative articles in def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isaeng Association” over 35 year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7. Although Gisaeng were involved in “Charity Concert Activities” for orphanages, natural disasters, and midwife training schools out of the “Pure Purpose and Intention” for the country and people without commercial benefits throughout the Korean Empire Period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such activities were regarded and distorted as the “Responsive Behaviors” done in awareness of conventional views that treated Gisaeng as the causes of demoralization and as “activities” done to improve the public image of Gisaeng of the time. In conclusion, the serial researches, [A Study on Gisaeng in Colonial Korea (I),(II),(III)], by Suh Jiyoung were often cited in works about Gisaeng, the state-regulated prostitution system, gender, sexuality, feminism, and prostitution system because of the titles, “Study on Gisaeng”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Colonial Period, Japanese Colonialism).” However, as recent researches pointed out various academic errors and distortions, the serial researches by Suh Jiyoung are inappropriate to represent the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other words, the researches on Gisae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not empirical, detailed, or comprehensive enough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Gisaeng and Gisaeng Association(Gwonb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us, the following researches have to make related attempts. In cases of citing the researches by Suh Jiyoung, the researchers must review the researches by Suh Jiyoung additionally and thoroughly to secure the academic validity before citing them.

목차

1. 문제제기
2.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의 문서구성 및 색인(索引)
3. 「식민지 시대 기생 연구(Ⅱ)」에 대한 비판적 검증 및 학술적 오류 정정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남(Lee Jeongnam). (2022).『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비판적 고찰 및 학술적 오류 정정. 리터러시 연구, 13 (4), 385-422

MLA

이정남(Lee Jeongnam). "『기생 및 창기에 관한 서류철』을 활용한 선행연구의 비판적 고찰 및 학술적 오류 정정." 리터러시 연구, 13.4(2022): 385-4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