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업장 위험요소 존재와 산업재해 발생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이용수 337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ence of workplace risk factors and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Focused on the 9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Data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엄수현(Eom Su Hyun) 최서연(Choi Seo Yeon)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17호, 155~16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7.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9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사업장 위험요소 존재와 산업재해 발생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위험요소 존재의 사전 파악과 산업재해 감소를 위한 안전보건관리 대책 수립의 기초 자료 활용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제9차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의 원시데이터 중 5,108개 사업장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는 업종으로 나누어 사업장 규모(근로자 수), 산업재해 발생 여부(2017년도 기준), 정신적·심리적, 화학물질, 물리적, 인간공학적, 위험한 기계·기구 존재, 위험장소 작업의 위험요소 존재 여부의 6문항을 활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업종별 산업재해 발생은 건설업, 제조업, 서비스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사업장의 규모가 클수록 산업재해 발생이 높고, 건설업은 100인 이상 사업장의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기업 간 관계에서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원청업체의 사내 협력업체의 산업재해 발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건설업의 경우 원청업체도 하청업체도 아닌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이 높게 나타났다. 작업장 내 위험요소 존재는 제조업의 경우 위험한 기계·기구 위험요소, 서비스업은 정신적·심리적 위험요소, 건설업은 위험한 장소의 작업에 대한 위험요소 존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작업장에 존재하는 위험요소는 업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산업재해 발생은 위험요인이 존재하는 경우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고, 본 연구를 통하여 사업장의 업종, 규모, 기업 간의 관계가 산업재해 발생과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업장의 위험요소 존재가 산업재해 발생과 관련성이 높지만, 업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사업장의 안전보건체계는 사업장 특성과 위험요인의 존재를 사전에 파악한 후 수립되어야 하며, 사업장에서 발생한 사고의 탐색을 통하여 유해위험 요소를 확인하고, 잠재된 위험요소는 발굴하여 개선과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Focused on the 9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Data', the existence of risk factors in the workplace and the relevance of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re confirmed, and based on this, the existence of risk factors is identified in advance and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measures to reduce occupational accidents. It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use as basic data for establishment. Among the raw data of ‘Focused on the 9th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urvey Data’, 5,108 workplac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e data are divided by industry, and the size of the workplace (number of workers),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s of 2017), mental/psychological, chemical substances, physical, ergonomics, presence of dangerous machinery/equipment,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isk factors for work in hazardous places are 6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tems.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by industry was highes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anufacturing industry, and service industry.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e larger the workplace, the higher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occurrence of workplaces with 100 or more workers was hig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mong in-house subcontractors of the prime contractor was high, an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was high in the workplaces other than the principal and subcontractors. As for the presence of risk factors in the workplace, the presence of hazardous machinery and equipment risk facto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mental and psychological risk factors in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presence of risk factors in dangerous plac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difference in existence. Occupational accidents were found to be highly correlated when risk factors were pres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siness type, size, and company of the workplace i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ce of risk factors in the workplace is highly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industrial accidents, there a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dustry. The safety and health system of the workplace should be established afte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 and the existence of risk factors in advance, and improvement and countermeasures should be prepared by identifying harmful risk factors through the search for accidents occurring at the workplace and discovering potential risk facto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수현(Eom Su Hyun),최서연(Choi Seo Yeon). (2022).사업장 위험요소 존재와 산업재해 발생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7), 155-165

MLA

엄수현(Eom Su Hyun),최서연(Choi Seo Yeon). "사업장 위험요소 존재와 산업재해 발생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7(2022): 155-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