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덕 장육사 대웅전 벽화의 도상과 특징

이용수 121

영문명
The Iconography and Characteristic of Wall Paintings of Daeungjeon Hall at Jangyuksa Temple in Yeongdeok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39집, 280~301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육사 대웅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주심포계 맞배지붕을 지닌 조선시대 건물로 대웅전 내부에는 불상과 불 화 외에도 벽과 천정에 그려놓은 벽화와 단청이 눈길을 끈다. 전각의 내부를 장엄하는 벽화와 단청은 주예배 대상 인 불상이나 불화로 시선을 집중시키고 종교적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의미로 그리기 때문에 작게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장육사 대웅전의 동·서 측벽에는 다른 사찰벽화에서 볼 수 없는 독창적인 도상을 보여주고 있어 주 목된다. 본고는 장육사 대웅전의 내부벽화를 중심으로 배치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사자를 탄 문수동자, 흰 코끼리를 탄 보현동자, 악기를 연주하는 비천 등 다른 사찰벽화와 차별성을 갖는 도상에 대해 도상적 연원과 전개과정을 고찰 하였다. 이 도상은 이른 시기 벽화에서 단독의 도상으로 성립되었으며,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전반 서울·경기 지역 괘불도 하단에 그려지는데 영향을 주었음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포벽의 나한ㆍ조사도는 도상과 채색, 세부표현에 서 19세기 이후의 특징을 보이고있어, 중창 이후 개채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어 사찰에 전해지는 기록을 바탕으로 벽화의 조성연대를 고찰하였다. 대웅전 내부벽화 대부분은 1764년 수화 승 두훈(斗訓)과 재옥(再玉)이 참여한 불화불사 때 조성된 것으로 18세기 중반 기사문수·기상보현동자 도상을 보 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으로 자료적 가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s a building of Joseon Dynasty, Daeungjeon Hall at Jangyuksa Temple has jusimpo type gable roof with three bays in the front and three bays on the side, and inside the Hall, it attracts the attention of wall paintings and dancheong drawn on the wall and ceiling as well as Buddha statues and Buddhist paintings. Wall paintings and dancheong which make the interior of the Hall look majestic are usually drawn small because they are painted in the sense to focus attention on Buddha statues or Buddhist paintings as the main object of worship and form a religious atmosphere, but it receives attention since the east and west wall of Daeungjeon Hall at Jangyuksa Temple show unique iconography that is not seen in wall paintings of other temples. This paper looked into the layout focusing on wall paintings the inside of Daeungjeon Hall at Jangyuksa Temple and examined the iconographic origin of the iconography that is distinguished from wall paintings of other temples, such as Munsudongja(Child Majusri) on a lion, Bohyeondongja(Child Samantabhadra) on a white elephant, and Bicheon(aprasas)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etc. as well as the development process. This iconography was established as solo iconography in earlier period of wall paintings, and it was found that it had an influence on banner Buddhist paintings of Seoul&Gyeonggi area be drawn at the bottom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Arhat paintings and Portraits of Great Masters on Pobyeok wall show characteristics after the 19th century in the iconography, coloration, and detailed expression, so it is believed that they were repainted after a rebuilding. Then, based on the records handed down to the temple, the creation period of the wall paintings was examined. Most of the wall paintings the inside of Daeungjeon Hall were created in 1764 during a ceremony of Buddhist paintings, in which leading monk painters Doohoon(斗訓) and Jaeok(再玉) participat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y have great material value as representative works showing the iconography of Gisamunsudongja(Child Majusri on a lion) and Gisangbohyeondongja(Child Samantabhadra on a white elephant) in the mid-18th 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대웅전 벽화의 구성과 도상
Ⅲ. 벽화의 조성시기와 제작 화승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영덕 장육사 대웅전 벽화의 도상과 특징. 마한백제문화, (), 280-301

MLA

. "영덕 장육사 대웅전 벽화의 도상과 특징." 마한백제문화, (2022): 280-3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