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륵사지 출토 금동제 과대장식에 대한 고찰

이용수 151

영문명
A Study on Gilt Bronze Belt Ornaments from the Mireuksa Temple Site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39집, 136~149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金銅製銙帶裝飾은 2차 발굴조사시 南回廊址 西側 積土場에서 수습된 것으로 과대 장식판 1점만 남아있다.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이 과대장식판에는 기존 고려시대 과대 장식문 양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공작을 탄 인물이 표현되어 있어 흥미롭다. 본고에서는 미륵사지 출토 과대금구 장식판을 고려시대 과대의 형식 및 제작 기법의 범주에서 살펴보고, 또 여기서만 보이는 독특한 도상에 대 해서도 고찰해보았다. 고려의 복식제도는 주변국가가 고려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변화하였는데, 관복의 구성인 과대는 이러한 복식 및 과대제도의 변화양상에 따라 살펴볼 수 있다. 『高麗史』의 기록에 의하면 고려 태조가 나라를 세울 때 신라의 관복 제도를 이어받은 사실을 알 수 있으나, 이후 고려는 송대 복식제도의 영향을 받는다. 銙帶는 보통 띠고리인 교구, 띠꾸미개인 과판, 띠끝장식판인 대단금구와 허리를 두르는 부분인 鞓으로 네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고려시대 과대 중 완전한 형태로 남아있는 것으로는 안동 태사묘소장 과대가 대 표적이다. 미륵사지출토 금동제과대장식판은 오른쪽 변이 약간 둥글고 위아래 변이 오른쪽으로 갈수록 약 간 넓어지는 사다리꼴 형태이다. 출토된 부분은 대단금구이며 이러한 형태는 과대의 끝부분에 사용하는 帶端金具의 장식판으로 볼 수 있다. 고려시대 과대금구는 고부조의 타출로 만든 작품들이 많은데, 미륵사 지출토 과대금구는 주조기법으로 제작되었다. 과대장식판 테두리 안쪽 중앙에는 공작을 타고 三山冠을 썼으며, 왼손에는 빛을 발하는 월광을 받쳐 들 고 있는 인물상을 나타냈다. 孔雀明王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공작명왕 부분은 저부조로 시문하였고 이 를 제외한 표면내부에 원형돌기문을 촘촘하게 장식하여 빈틈이 없으며, 매우 화려하게 꾸몄다. 공작명왕도 상은 현재 전하는 작례가 많지 않은 밀교적인 도상으로써 매우 귀중한 작례로 볼 수 있다. 공작명왕도상은 특히 밀교가 성행했던 일본에서는 다수 제작되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몇 점 안되지만 현존하는 작례와 간단한 기록, 그리고 『고려사』 기록에서 공작명왕도량을 열었다는 내용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공 작명왕에 대한 신앙이 분명 있었고, 이에 대한 조상이 다수 있었을 것으로 보이며, 이와 같이 과대금구에도 장식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고려시대 銙帶제도의 기원과 전개
Ⅲ. 미륵사지 출토 金銅製銙帶裝飾의 제작기법
Ⅳ. 미륵사지 출토 金銅製銙帶裝飾의 도상적 특징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미륵사지 출토 금동제 과대장식에 대한 고찰. 마한백제문화, (), 136-149

MLA

. "미륵사지 출토 금동제 과대장식에 대한 고찰." 마한백제문화, (2022): 136-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