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현상을 통해 본 조성시기 고찰

이용수 345

영문명
The period of manufacture through the four-sided carved Buddha statues in Gulbul Temple Site in Gyeongju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39집, 250~279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은 『삼국유사』 권제3 탑상 제4 「사불산 굴불산 만불산」조에 의해 경덕왕 재위기간인 742 년에서 764년에 이미 조성되었다는 문헌기록이 있어 통일신라시대 조각의 대표적인 편년 기준작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석조사면불상의 각 존상이 동시기에 제작되었는가, 그리고 경덕왕 재위기간에 조성되었는가 등에 대한 여러 의문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면석불의 각 존상의 조성수법과 양식 등을 중국과 일본 및 통일신 라시대에 조성된 존상들과 비교 검토하여 존상별 조성시기의 선후관계를 제시해보았다. 굴불사지 석조사면석불의 조성시기는 가장 이른 시기의 상은 상한 8세기 전반 그리고 가장 늦게 조성된 상은 하 한 8세기 중후반에서 9세기 초반으로 제시하였다. 즉, 남면 불·보살입상과 북면 부조불입상은 상한 719년 이후 하 한 764년을 넘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서면 아미타불입상과 동면 약사불좌상은 하한 8세기 전반, 서면 좌우협시보 살상은 본존보다 늦은 8세기 중엽, 북면 선각 11면6비관음보살입상은 8세기 중후반~9세기 초반경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서면 아미타불입상의 왼팔과 대좌의 측면부가 정연하게 절단되었다는 점과 아미타본존 불입상의 향우측의 암벽에도 정을 사용하여 인위적으로 쪼아낸 흔적이 남면의 파손부위까지 연속되고 향좌측의 암벽면에도 쐐기로 파낸 흔적이 북면 부조불입상의 부위까지 연속되고 있다. 그런 점에서 아미타불입상의 좌우협 시보살입상은 『삼국유사』에서 경덕왕이 다녀간 뒤 사면석불이 있는 자리에 절을 세웠다는 기록을 근거로 본다면 절을 건립한 시점에 새로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가장 늦은 시기에 조성된 존상은 북면의 11면6비관음보살상으로 11면의 배열과 비례 그리고 6비의 자세와 지물 의 표현이 중국 감숙성 천수시박물관 소장 금동11면6비관음입상(8세기 초)과 중국 하남성 정주박물관 소장 하남성 형양현 대해사지 발견 석조11면6비관음입상(9세기 전반), 중국 강소성 양주 출토 11면6비관음입상(9세기 후반), 인 도 뉴델리국립박물관 소장 돈황출토 11면6비관음보살도(9~10세기) 등과 같은 형식을 보인다. 그리고 통일신라시 대 11면관음보살의 조성시기가 8~9세기라는 점에서 8세기 중후반~9세기 초반경으로 설정하였다. 사면에 배치된 각 존상의 존명은 『고후쿠지류기(興福寺流記)』와 창태(昌泰) 3년(900)에 찬술된 『고후쿠지연기 (興福寺緣起)』에 남방 석가불토변(釋迦佛土變)의 권속에 ‘신라인형일(新羅人形一)’이라는 내용이 있어 신라와의 관계 속에 사면불이 형성되었다는 사실에서 동방 약사불·남면 석가불·서면 아미타불·북면 미륵으로 설정하였다.

영문 초록

Seokjosa-myeon Buddha statue of Gulbulsa Temple Site is a representative one-year work of Unified Silla sculpture, as there is a literature record that it was already built from 742 to 764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by the 4th 사Sabulsan Gulbulsan Mountain Manbulsan조에. Nevertheless, several questions have been raised as to whether each statue of the Buddha in Seokjosa-myeon was produced at the same time and whether it wa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Accordingly, this paper compared and reviewed the method and style of the construction of each statue of the Four Sided Stone Buddha with those created in China, Japan,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to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cestors and the time of construction. The earliest period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one Buddha at Gulbulsa Temple Site was in the early 8th century, and the latest one was in the late 8th century to the early 9th century. In other words, it was considered that the standing Buddha and Bodhisattva in the south and the standing Buddha in the north did not exceed the lower limit of 764 years after the upper limit of 719. Standing Amitabha Buddha in Seomyeon and Seated Bhaisajyaguru Buddha in Dongmyeon are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Standing Bhaisabha Bodhisattva in Seomyeon is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It was suggested that it was built in the early 9th century. In particular, the left arm of the standing statue of Amitabha Buddha and the side of the pedestal are neatly cut, and artificial traces of being pecked on the rock wall on the right side of the standing statue of Amitabha continue to the damaged part of the southern side. In this regard, based on the records that King Gyeongdeok built a temple at the site of the Four Stone Buddhas after his visit to the Three Kingdom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tatue was newly built at the time of the temple's construction. The latest statues of the Bodhisattva are 11 sides, 6 sides, 11 sides, 6 sides, and 6 sides, including the Gilt-bronze 11 sides, 6 sides, 6 sides, and the National Museum of India, 11th and 10th centuries. In addition, it was set from the late 8th century to the early 9th century in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11-sided Gwaneum Bodhisattva in the Unified Silla Period was in the 8th to 9th centuries. The existence name of each statue placed on the slope was "Kofuku Jiryugi" and "Kofukuji Acting" described in the 3rd year of Changtae (900),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Southern Buddha, it was established as "Shin Line-hyungil" and "Amitabha-myeon" in the north of Silla.

목차

Ⅰ. 머리말
Ⅱ.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양식과 편년
Ⅲ. 굴불사지 석조사면석불의 각 존상의 조성순서
Ⅳ.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존명과 조성배경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현상을 통해 본 조성시기 고찰. 마한백제문화, (), 250-279

MLA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현상을 통해 본 조성시기 고찰." 마한백제문화, (2022): 250-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