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문헌기록의 익산 미륵산성과 주변 고적의 이해

이용수 153

영문명
Understanding of Iksan Mireuksanseong and Surrounding Sites in the Documentary Records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39집, 190~227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륵산성은 이른 시기부터 익산의 중요 거점으로서 기능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산성이 갖는 의미와 향후 보 존·활용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현전하는 문헌기록에 어떻게 묘사되었는지를 보고, 더불어 주위 의 중요 유적을 파악하여 익산의 전통과 유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고·중세 시기의 『삼국사기』와 『고려사』의 지리지에는 익산이 마한과 연관된다고 기록하였다. 그런데 이 시 기의 지리지가 대부분 군현 지명의 유래 서술인 것을 고려할 때 특별히 미륵산성이 부기된 점은 그만큼 익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큼을 의미한다. 이후 대부분의 조선시대 편찬 지리지는 익산이 箕準의 南來地였다는 것과 백제 온조왕에 의해 ‘금마저’가 되었 다는 서술 구조가 유지되었다. 다만 조선 말기 『대동지지』에 이르러 익산과 마한의 연관성 배제 등의 변화가 보이 지만 대체적인 시각은 여전하였다. 아울러 익산의 문화자원 요소들의 대부분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서술과 크 게 달라지지 않았다. 미륵산성의 경우도 15세기 『고려사』와 『세종실록』 지리지는 ‘미륵산산성’이라 기록하였으나 16세기에 이르면 ‘기준성’으로 변모한다. 이는 ‘조선’이라는 국가 성립의 정당성과 연결되는 것으로 대부분의 지리지와 읍지 그리고 군현지도 등의 각종 기록에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한편, 조선 후기인 18세기의 익산에 대한 상황은 「유금마성기」(1738)와 『금마지』(1756)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유금마성기」는 미륵사지, 왕궁리 유적, 미륵산성, 쌍릉 등을 직접 답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金馬’를 箕準과 관련된 곳이라는 관점을 유지함으로써 기록의 가치를 떨어뜨렸다. 『금마지』도 왕궁리 유적을 궁터, 왕궁터, 왕궁탑, 왕궁정으로 세분화하여 기록하였지만 관련 유적의 근거를 마한과 연결시키는 경향에서 탈피하지 못하였다. 19세기에는 각종 익산군 지도에 지리지의 내용과 동일한 유적의 내용이 실렸고, 시기가 거듭될수록 더 많은 지 리와 문화 정보를 담았다. 이에 <1872년 지방지도>에는 지역사의 핵심인 마을 현황과 위치까지 기재하여 미륵산성 (기준고성)과 왕궁리 유적 등을 실체적으로 인식시켜 주었다. 이처럼 미륵산성은 『고려사』 이래 『세종실록 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지』, 「유금마성기」, 『금마 지』, 『대동지지』, <해동지지>, <여지도>, <광여도>, <1872 지방지도> 등의 각종 지리 관련 기록에 모두 나타난다. 이 는 그만큼 미륵산성의 역사적 위상이 중요하다는 하나의 증거이다.

영문 초록

Mireuksanseong has functioned as an important base in Iksan since early tim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meaning of this Mireuksanseong and its futur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n this regard, We looked at how it was described in the existing documentary records, and also looked into the tradition and heritage of Iksan by identifying important relics around it. First of all, It is recorded that Iksan is related to Mahan in the geography records of the Samguksagi and the Goryeosa. However,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geography records of this period is a description of the origin of the place names in Gunhyeon, the fact that Mireuksanseong was specially added means that it occupies a large proportion in Iksan. After that, most of the geography records compiled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written that Iksan was the place where King Kijun came down to the south, and that it became Geummajeo during the reign of King Onjo of Baekje. However, changes such as the exclusion of the connection between Iksan and Mahan were observed in the Daedongjiji in the late Joseon Dynasty, but the general view was still there. In addition, most of the cultural resource elements of Iksa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description of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In the case of Mireuksanseong, the geography records of Goryeosa and Sejongsilrok in the 15th century was recorded as ‘Mireuksan-sanseong’, but by the 16th century, it was changed to ‘Kijunseong’. This is related to the legitimacy of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 called ‘Joseon’, and it appears in most of the various records related to geography. Meanwhile, the situation of Iksan in the 18th century, the late Joseon Dynasty,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records of Yugeummaseonggi(1738) and Geummaji(1756). However, despite a direct visit to Mireuksa Site, Wanggung-ri Remains, Mireuksanseong, and Ssangneung, Yugeummaseongki maintained the point of view that the Geumma(Iksan) area was related to King Kijun, thus reducing the value of the record. Geummaji also subdivided the ruins of Wanggung-ri into palace sites, royal palace sites, royal towers, and royal palace wells, but it did not escape the tendency to link the grounds of related ruins with Mahan. In the 19th century, various maps of Iksan-gun contained the contents of the same relics as those of geography records, and as time went on, more geography and cultural information were included. Accordingly, Iksangunjido(1872) recorded the current status and location of villages, which are the core of local history, and made ‘Mireuksanseong(Kijungoseong)’ and Wanggung-ri sites substantively recognized. In this way, Mireuksanseong has been around since Goryeosa, Sejongsillokjriji, Sinjeungdonggukyeojiseungram, Donggukyeoji, Yugeummaseonggi, Geummaji, Daedongjiji and Haedongjiji, Yeojido, Gwangyeodo, Iksangunjido(1872) etc., It appears in all kinds of geography- related records. This is one proof that the historical status of Mireuksanseong is so important.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사기』·『고려사』 지리지의 익산
Ⅲ. 조선시대 전국 지리지 속 익산 기록의 변화상
Ⅳ. 『금마지』와 「유금마성기」의 익산 고적 서술
Ⅴ. 군현별 지도 속 미륵산성과 주변 기록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문헌기록의 익산 미륵산성과 주변 고적의 이해. 마한백제문화, (), 190-227

MLA

. "문헌기록의 익산 미륵산성과 주변 고적의 이해." 마한백제문화, (2022): 190-2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