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북지역 마한의 역사문화권과 향후 과제

이용수 315

영문명
The introduction and spread of Japanese bell patterns in the modern period of Korea and the succession of traditional Th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of Mahan in Jeollabuk-do and Future Tasks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39집, 152~189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지역에서는 「역사문화권정비법」의 ‘마한역사문화권’에 도내 지역의 포함 여부가 큰 관심사의 하나 였다. 다행스럽게도 개정 법률안이 국회를 통과하여 6월 법의 시행을 앞두고 있다. 최근 전북지역의 만경강유역을 중심으로 점토대토기와 한국식동검이 출토되는 토광묘 계통의 분묘가 집중 조사되어 초기철기시대 혹은 마한의 성립기 분묘 유적의 최대 중심지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일련 의 성과를 바탕으로 익산 미륵산에서 전주 모악산에 이르는 분지형 공간을 ‘만경강유역 문화권’으로 설정 하기도 한다. 또한 완주 상운리 유적으로 대표되는 분구묘(墳丘墓) 유적이 전북지역 전역에서 확인되고 있 다. 본 논고는 전북지역의 마한 관련 분묘유적을 정리하고 수계에 따른 문화권의 설정과 그 특징을 검토하 여 마한시기에 전북지역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살펴본 글이다. Ⅱ장에서는 「역사문화권정비법」의 발의와 제정 과정을 포함하여 ‘마한역사문화권’에 대한 내용을 검토 하고 법안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전북지역 마한의 문화권과 그 특징을 현재까지 조사된 분묘유적을 토대로 수계(水系)에 따 른 문화권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만경강유역권-동진강유역권-고창천유역권으로 크게 세분되었다. Ⅳ장의 각 유역권의 특징으로는 만경강유역권이 마한의 형성기 혹은 성립기에 해당하는 비교적 이른 시기 의 분묘유적이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동진강유역권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고학 자료가 영세한 편 이지만 중국 진나라의 허리띠가 출토된 정읍 운학리고분군을 주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창천유역권은 3 세기 이후의 마한 분구묘 밀집 분포지역으로 그 최고의 정점에 고창 봉덕리고분군이 있다. 결국 전북지역의 수계권별 마한 시기의 분묘유적을 통해 마한의 형성기부터 분구묘 전통의 다장(多葬) 고(高)분구묘까지 모두 확인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마한이라는 역사적 무대에서 전북지역이 차지 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북지역의 마한 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서는 광 역의 측면에서 도내 마한 문화의 연구가 필요하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행정력과 타 지역과의 유기적인 협 력체계, 이를 위한 관련 전문가의 육성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Lately, the inclusion of certain provincial regions in the ‘Mahan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 Reorganization Act」 has been a great concern of local people. Fortunately, the revised bill of the act ha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and is about to go into effect in coming June. In recent years, an intensive study has been conducted on the pit tombs from which potteries with ring rims and Korean style bronze daggers have been excavated mostly around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Jeollabuk-do, which has thus emerged as the largest center of tomb remains of the early Iron Age or the founding period of Mahan. Based on a series of achievements like this, the basin-shaped space from Mireuksan in Iksan to Moaksan in Jeonju occasionally comes to be set as the ‘Mangyeong River Basin Cultural Zone’. Besides, the remains of mounded burials (墳丘墓)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remains of Sangun-ri, Wanju have been identified throughout the Jeonbuk region.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the Jeonbuk region in the Mahan period by organizing the remains of tombs related to Mahan in the Jeollabuk-do region and examining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spheres according to the water system and their characteristics. In Chapter II, the contents of the ‘Mahan Historical and Cultural Sphere’, including the process of initiation and enactment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Zone Reorganization Act」, were reviewed and the problems of the bill were examined. In Chapter Ⅲ, the cultural sphere of Mahan in Jeollabuk-do and its characteristics wereclassified into the cultural spheres according to the water system based on the remains of the tombs investigated so far. As a result, the cultural sphere of Mahan in Jeollabuk-do was subdivided largely into the Mangyeong River Basin - Dongjin River Basin - Gochang Stream Basin. In Chapter Ⅳ,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ated river basins, it was found that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omb remains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coincident with the formation or establishment time of Mahan in the Mangyeong River Basin. In case of the Dongjin River Basin, the amounts of archaeological data are relatively small, but notable was the Unhak-ri tomb cluster in Jeongeup, where a belt of the Chinese Qin Dynasty was discovered. Lastly, in the Gochang Stream Basin, Mahan’s mounded burials since the 3rd century are densely distribu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m, the ancient tombs cluster of Bongdeok-ri, Gochang are at its zenith. In the end, it turned out that all the tombs from the formation period of Mahan to the multiple and high mounded ancient tombs of the Mahan tradition could be confirmed through the tombs remains of the Mahan period in each water system of the Jeonbuk region. Consequently, it could be summed up that the proportion of Jeonbuk region on the historical stage of Mahan is heavily large. It seems therefore necessary to study Mahan culture in Jeonbuk region from a broader perspective with a view to advertise the excellence of Mahan culture in broader scope of Jeollabuk-do. In addition, it is further requested to mobilize active administrative power and to introduce an organic cooperative system with other regions. For this purpose, the nurturing of related experts should be accompanied, as well.

목차

Ⅰ. 머리말
Ⅱ.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과 그 문제점
Ⅲ. 전북지역 마한 문화권의 설정
Ⅳ. 각 수계별 마한 문화권의 특징
Ⅴ. 맺음말-향후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전북지역 마한의 역사문화권과 향후 과제. 마한백제문화, (), 152-189

MLA

. "전북지역 마한의 역사문화권과 향후 과제." 마한백제문화, (2022): 152-1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