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藕益智旭 『中庸直指』의 “中庸” 槪念 考察

이용수 44

영문명
A Study on “Zhongyong (中庸)” Notion in 『Zhongyongzhizhi (中庸直指)』of Ouyi Zhixu (藕益智旭)
발행기관
대동한문학회
저자명
朴素鉉(Park, So-hyun)
간행물 정보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第70輯, 199~237쪽, 전체 39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3.30
7,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藕益智旭은 明代四大高僧 중 한 사람으로, 그의 대표적인 저서인 『중용직지』는 유가의 소의경전인 『중용』을 ‘援儒入佛’로서 불가의 논리로 해석하고 있다. 『중용』의 주요 개념 중 하나인 ‘중용’에 내포된 함의를 儒佛道 각각 대표 저서에서 말하고 있는 함의를 고찰하였다. 주희는 중용의 ‘中’을 體用 관계에서 논하고 있다. 즉, ‘中’에는 ‘不偏不倚’의 ‘未發之中’으로서 본체(體)의 의미와 ‘無過不及’의 ‘時中之中’의 작용(用)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아울러, ‘庸’을 中과 별도로 존재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中’이 곧 ‘庸’이라 하여, 일상의 평범하고 떳떳한 도리가 곧 ‘中’이라 말하고 있다. ‘中’의 한 글자 안에서 體用 양 측면을 논했던 주희와는 달리, 지욱은 ‘中庸’ 2글자를 體用 관계로 설정하여 ‘中’과 ‘庸’을 兩者의 수평관계로 인식하였다. 또한, 지욱은 그의 사숙인 감산덕청과 같이 ‘中庸’과 관련하여 ‘性量’과 ‘性具’로 분리하여 體用을 논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性量’과 ‘性具’의 체용 두 관계가 독자적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존재한 것이 아니라, 體用을 융합하여 본체와 하나가 된 작용, 즉, 현상 작용과 하나가 된 본체를 밝혀 ‘體用一如’, ‘性相圓融’의 究竟 도리를 언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익은 비록 유가의 소의경전인 『중용』을 천석하고 있지만, 주자학의 해석과는 전혀 다른 佛家의 논리로 체계화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이는 선천적 성품인 ‘本覺’의 측면에서 논급한 것이기에 聖者와 凡夫가 동일한 佛性의 體用으로 논한 것이다. 우익의 四書 闡釋의 두드러진 특징은 감산덕청의 四書 闡釋에 비해 더욱 직접적으로 불교의 용어를 내세우며, 보다 佛家적 색채를 확고하게 드러난 점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이는 당시 유불 융합을 통해 佛家를 쇄신하고자 했던 佛家의 종단적 노력과 동시에 유불 융합은 물론 朱王의 사상적 융합이 드러나는 明代 사상사적 특징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Ouyi Zhixu (藕益智旭) is one of four priests of high virtue in the Ming period and his representative work 『Zhongyongzhizhi (中庸直指)』 is to interpret the fundamental Confucian scripture 『Zhongyong』 as ‘engaging Confucianism with Buddhism (援儒入佛)’ in terms of Buddhist logic. This study is to examine implications of ‘Zhongyong’, one of the main notions in 『Zhongyong』, in different volumes of representative Confucian, Buddhist and Taoist books. Zhuxi discussed the letter ‘Zhong (中)’ in the relation of noumenon (體) and action (用). In other words, he claimed that the letter ‘Zhong’ incorporates a meaning of noumenon as ‘emotions not arisen yet (未發之 中)’ of ‘neither biased nor inclined (不偏不倚)’ and the other meaning of action in ‘flexible ethics in different circumstances (時中之中)’ of ‘neither excessive nor lacking (無過不及)’. In addition, he did not consider that the letter ‘Yong (庸)’ is a separable notion from Zhong but perceived ‘Zhong’ as ‘Yong’ itself, arguing that the ordinary and fair way of everyday life is literally ‘Zhong.’ While Zhuxi covered both aspects of noumenon and action in the single letter of ‘Zhong’, Zhixu set the two letters of ‘Zhongyong’ as the relation of noumenon and action, perceiving ‘Zhong’ and ‘Yong’ as a horizontal relation between the two. In addition, Zhixu discussed ‘Zhongyong’ with separated notions of ‘Xingliang (性量)’ and ‘Xingju (性具)’ with his academic admirer Hanshan Deqing to study noumenon and a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lation of noumenon and action with ‘Xingliang’ and ‘Xingju’ does not exist in an independently separated manner but noumenon and action are integrated, which means the action united with the noumenon. In other words, he clarified noumenon united with the action phenomenon, mentioning his investigational manner of ‘oneness of noumenon and action’ and ‘smooth integration of Xing and Xiang (性相圓 融).’ Though Ouyi attempted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fundamental Confucian scripture 『Zhongyong』, it is found that his interpretation was organized in Buddhist logic, which is thoroughly different from that of Zhuxi Studies. It was a discussion in terms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 natural character, so he claimed noumenon and action with the same Buddhist quality both in saints and ordinary people. What is noticeable in detailed interpretation of four scriptures by Ouyi is that he put up Buddhist terms more directly than that of Hanshan Deqing and presented Buddhist tones more firmly. It was efforts of the Buddhist realm which tried to reform Buddhism through integration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also a feature of the history of thought in the Ming period that exhibits Zhu-Wang ideological integration.

목차

1. 서론
2. 儒家와 道家, 그리고 智旭의 ‘中’
3. 本性 體用으로서의 ‘中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朴素鉉(Park, So-hyun). (2022).藕益智旭 『中庸直指』의 “中庸” 槪念 考察. 대동한문학, 70 (1), 199-237

MLA

朴素鉉(Park, So-hyun). "藕益智旭 『中庸直指』의 “中庸” 槪念 考察." 대동한문학, 70.1(2022): 199-2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