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한제국기 관료 李重夏의 경전 강연

이용수 70

영문명
Lecture on Canons by Lee Joong-ha, Official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Focused on Daedong Hakho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신재식(Shin Jae-sik) 강명관(Kang, Myeong-kwa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61輯, 127~15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大東學會는 1907년 중앙 유림 관료 집단이 결성한 보수 학술단체이다. 대동학회 임원진은 조선후기 집권층 유학자 출신으로, 東道西器論에 입각한 대한제국의 광무개혁을 주도한 바 있다. 당시 국내외 정세의 격변으로 인해 그 기득권의 근간인 전통 체제가 위협을 받은 까닭에 그에 대응하는 정책을 구사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에 결국 일제 정치 유교 집단과 협력하여 대동학회를 설립하기에 이른다. 대동학회 강연회는 매주 유림 회원을 대상으로 유교의 윤리에 서학의 기술을 접목하는 방안을 강구하는 모임이다. 그 내용의 일부는 「講義錄」으로 요약되어 『大東學會月報』에 수록되기도 한다. 이는 일부 유림 세력의 지지를 받았고, 일제의 유림 회유 정책에 기여한다. 그 과정에서 경전강사 李重夏(1846-1917)가 활약한 것이다. 이중하는 대동학회에서 평가위원ㆍ경전강사ㆍ전문학교교장ㆍ교육과장 등 주요 직책을 역임하면서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학회 활동에 참여한 바 있는데, 특히 경전강사로서의 활동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강연의 주제를 보자면 그는 『論語』 7건(「爲政」 1건, 「公冶長」 1건, 「雍也」 1건, 「述而」 4건), 『中庸』 2건(17장ㆍ20장), 『孟子』 1건(「離婁下」) 등을 다루었다. 강연의 요지를 보자면 그는 유교 체제의 부흥을 국가 부흥의 관건으로 제시하고, 사족의 자격과 역할의 회복을 유교 부흥의 핵심으로 지목한다. 그러고는 전통 주자학의 修己治人 실현을 그 방도로 제시하고 그 실천을 권면한다. 흥미로운 점은 이것이 그 학문 사상의 연원인 율곡의 『聖學輯要』의 과정과 일치한다는 것이다. 󰡔『論語』ㆍ『中庸』ㆍ『孟子』 등 여러 四書의 문구를 근거로 修己의 知行ㆍ立志ㆍ誠實ㆍ矯氣質과 治人의 用賢ㆍ取善 등 여러 聖學의 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회원에게 권면한 것이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대한제국기 정세에서 전통 집권층의 생존 전략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일제에 부역하게 되는 대한제국기 집권층의 구체적 행동 양태를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Daedong Hakhoe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is an academic organization established by a group of central Confucian officials in 1908. The leaders of Daedong Hakhoe belong to the Patriarch’s Faction, the mainstream power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y led the Gwangmu Reform based on the idea of ‘Eastern Ways and Western Technologies.’ For the traditional system,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was threatened due to rapid changes in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landscape at the time, they needed policies to cope with the changes. Eventually, they established Daedong Hakhoe in cooperation with Japan’s imperial political Confucian organization. The lecture meeting of Daedong Hakhoe gave lectures on how to incorporate Western Learning into Confucian canons every week for members of the association who are Confucian scholars. Some of the contents of the lectures were summarized in the 「Gangeuirok (Lecture Notes)」 and inserted in the 『Daedong Hakhoe Wolbo (Great Eastern Studies Association Monthly)』. It was supported by some Confucian authorities and influenced Confucian polic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anon lecturer Lee Joong-ha (1846-1917) made a huge contribution in that process. Lee Joong-ha participated in the academic activities enthusiastically and continuously by serving in various important posts in the association, such as evaluator, canon lecturer, principal of college, and dean. In particular, he mostly served as a canon lecturer. Topics of lectures included seven topics (one on 「爲政 (Practice of Government)」, one on 「公冶長 (Gongye Chang)」, one on 「雍也 (Yong Ye)」, and four on 「述而 (Transmission of Learning)」) from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two topics (Chapter 7 and 20) from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one topic (「離婁下」 (Part 2 of Lilou)) from 『Works of Mencius (孟子)』. As for the substance of the lectures, he suggested the revival of the Confucian system as the key to national revival and pointed out that the restoration of the qualifications and roles of the aristocrats as the core of the revival of Confucianism. He suggested the realization of the idea of ‘cultivating oneself before governing others’ of the traditional doctrine of Chu Hsi as a way and recommended the practice of the idea.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is coincides with the process of Yulgok Lee Yi s 『Essentials of the Sage’s Learning』, which is the origin of that academic thought. In other words, he derived various learning processes, such as 知行 (Knowledge and Conduct), 立志 (Establishing an Aim in Life), 誠實 (Sincerity), 矯氣質 (Control of Emotion) for ‘cultivating oneself (修己)’ and 用賢 (Recruitment of Benevolent and Gifted People) and 取善 (gathering goodness) for ‘governing others (治人)’ based on the passages of the Four Books, such as 『The Analects of Confucius (論語)』,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and 『Works of Mencius (孟子)』, and recommended them to the association’s members. Therefore, it is deemed that it clearly shows the survival strategy of a group of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under the political circumstance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목차

1. 머리말
2. 大東學會와 李重夏의 활동
3. 李重夏의 경전 강연과 그 특징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재식(Shin Jae-sik),강명관(Kang, Myeong-kwan). (2022).대한제국기 관료 李重夏의 경전 강연. 동양한문학연구, 61 , 127-157

MLA

신재식(Shin Jae-sik),강명관(Kang, Myeong-kwan). "대한제국기 관료 李重夏의 경전 강연." 동양한문학연구, 61.(2022): 127-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