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에서 『대학』 번역의 양상에 관한 고찰

이용수 89

영문명
A Study on the Aspects of Translation of Daehak(大學) in Korea
발행기관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저자명
이영호(Lee, Young-ho) 서혜준(Seo, Hye-joon)
간행물 정보
『동양한문학연구』東洋漢文學硏究 第61輯, 185~21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2.28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朱子가 고본대학의 편장의 순서를 달리하고 格物致知補亡章을 창작하여 경문에 넣어 『대학장구』를 이룬 이후로, 주자의 『대학장구』는 전방위적으로 비판을 받았다. 이 과정에서 고본대학으로 돌아가자는 학자와 주자의 『대학장구』를 일부 수용하되 그 편차를 달리하자는 학자, 그리고 격물치지보망장의 존폐여부로 견해를 달리하는 경학자들로 인하여 매우 다양한 견해가 제출되었다. 사정이 이러하다 보니, 한국에서의 『대학』주석과 번역도 그 양상이 단일하지 않다. 본고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의 『대학』 번역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조선 왕조에서 『대학』의 표준 번역서는 宣祖 대에 완성된 교정청본 『대학언해』였으며, 이는 19세기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에서 『대학』 번역의 주류를 차지하였다. 『대학언해』의 번역저본은 주자의 『대학장구』였다. 그리고 그 성립 과정에서 주요한 자료적 토대가 된 것이 퇴계 이황의 釋義와 율곡 이이의 諺解였다. 한편 근대의 『대학』 번역은 1932년 8월에 출간된 『언해대학장구』에서 시작된다. 이 번역서는 일단 조선의 『대학언해』의 전통을 계승하지만, 『대학언해』에는 직역만 있음에 비해, 『언해대학장구』는 ‘직역’, ‘훈고’, ‘의역’의 세 층위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언해대학장구』는 주희의 『대학장구』를 저본으로 삼았지만, 또한 여타 주석서를 참고하였으며, 특히 근대 일본의 번역서도 참조하였다. 『언해대학장구』가 출간된 시점으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학』 번역은 그 양의 집적이 많은데, 크게 ‘『대학장구』의 번역’, ‘고본대학의 번역’, ‘『대학』 경문의 번역 및 해설’로 나눌 수 있다. 주자학이 대세였던 만큼 한국에서는 『대학장구』를 근간으로 하는 번역이 대세였지만, 고본대학 또는 왕양명의 『대학』 주석을 수용한 『대학』 번역도 왕성하게 이루어졌다. 이는 한국의 경서 번역이 주자학 일변으로 전개되지 않았으며, 다채로운 양상을 함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Since Zhu xi changed the order of Gobondaehak(古本大學) s chapters and created GyeokmulChijiBomangjang(格物致知補亡章) and put it in the scriptures to write Daehakjanggu(大學章句, Zhu xi s Daehakjanggu has been criticized from all directions. In this process, a wide variety of views were presented by scholars who wanted to return to Gobondaehak, scholars who wanted to partially accept Zhu xi s Daehakjanggu with its variations, and scholars who have different views on maintenance or abolition of GyeokmulChijiBomangjang. Under these circumstances, aspects of the commentary and translation of Daehak in Korea are not uniform. This paper examines aspects of translation of Daehak(大學) in Korea from the Joseon period t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time. In the Joseon period, the standard translation of Daehak was Daehakeonhae(大學諺解). It was a version of Gyojeongcheong(校正廳) and is completed in the SeonJo(宣祖) era. It occupied the mainstream of translation of Daehak on the Korean Peninsula until the 19th century. The original script of translation of Daehakeonhae was a Zhu xi s Daehakjanggu and the material base of Daehakeonhae was Eonhae(諺解) by Toegye(退溪) YiHwang (李滉) and Yulgok(栗谷) Yiyi(李珥). Meanwhile, the modern translation of Daehak begins with EonhaeDaehakJanggu(諺解大學章句) published in August 1932. This book inherits the tradition of Daehakeonhae of the Joseon period. But while Daehakeonhae has only a literal translation, EonhaeDaehakJanggu consists of three layers: literal translation , exegesis , and liberal translation . And while EonhaeDaehakJanggu was based on Zhu xi s DaehakJanggu, it also referred to other commentaries, especially modern Japanese translations. From the time when EonhaeDaehakJanggu was published to the present, many translations of Daehak has been accumulated and it can be classified mainly as a translation of DaehakJanggu, a translation of Gobondaehak , and a translation and commentary of Daehak. Because of the domination of doctrines of Zhu xi, translation based on DaehakJanggu was a general tendency in Korea. However, translations of Daehak that accommodated Gobondaehak or Wang Yangming s commentary on Daehak were also flourishing. This shows that the translation of Confucian scriptures in Korea was not developed entirely by doctrines of Zhu xi and contained a variety of aspects instead.

목차

1. 서론
2. 조선의 『대학』 번역
3. 근현대 『대학』 번역
4.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호(Lee, Young-ho),서혜준(Seo, Hye-joon). (2022).한국에서 『대학』 번역의 양상에 관한 고찰. 동양한문학연구, 61 , 185-214

MLA

이영호(Lee, Young-ho),서혜준(Seo, Hye-joon). "한국에서 『대학』 번역의 양상에 관한 고찰." 동양한문학연구, 61.(2022): 185-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