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ㆍ당대의 삼한 인식 변화와 『翰苑』의 편목 설정

이용수 55

영문명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Samhan(三韓) in the Sui(隋) and Tang(唐) Dynasties, and the Compilation of Hanwon(翰苑)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준성(Lee, Jun-Su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7輯, 37~5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翰苑』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른 지역에 비해 東夷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다. 동이 지역과 관련하여서는 7세기 당시 존재하고 있던 국가들 뿐 아니라 부여, 삼한 등 이미 존재하고 있지 않은 정치체들을 아울러 서술하고 있다. 또한 동이지역의 부여ㆍ삼한ㆍ고려ㆍ신라ㆍ백제 등 5개 편목 사이에는 부여→고구려, 삼한→신라 및 백제의 계승 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편찬 당시 동이 지역에 존재하고 있던 국가에 대한 관심의 범위가 그 역사적 계승에까지 닿아있었던 것이다. 결국 『한원』의 편찬 과정에서는 ‘역사적 삼한’과 ‘현실적 삼한’ 인식이 혼재될 가능성도 있었지만, 찬자는 ‘삼한’에 대해 면밀하게 분석하고 대응하는 대신 상대적으로 내용 파악이 용이한 사서를 중심으로 삼한 편목을 구성하였다. 그것은 漢의 계승을 통한 中華 재건을 표방하던 수ㆍ당대 대외인식을 반영하는 것인 동시에, 아직 동이 지역에 대한 종합적 이해에 이르지 못하던 상황을 반영해준다.

영문 초록

Looking at the composition of Hanwon, it is found to show a higher interest in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東夷) than in other regions. Regarding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 not only the countries that existed in the 7th century, but also the political bodies that already ceased to exist, such as Buyeo and Samhan, were described. In addition, it established a succession relationship from Buyeo → Goguryeo, Samhan → Silla and Baekje among the five of Buyeo, Samhan, Goguryeo, Silla, and Baekje in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 At the time of compilation, the scope of interest in the countries that existed in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 reached its historical succession. In the end, the author of 『Hanwon』 would have had no choice but to organize a compilation on Samhan focusing on history books that were relatively easy to grasp instead of closely analyzing and addressing ‘Samhan’ after thinking over the difference between ‘Historical Samhan’ and ‘Real Samhan.’ It reflects the external perception in the Sui and Tang Dynasties that advocated the reconstruction of China(中華) through the succession of Han(漢), and at the same time reflects the situation in whic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gion of Eastern Barbarians was not yet reached.

목차

Ⅰ. 머리말
Ⅱ. 수ㆍ당대 삼한 인식 변화
Ⅲ. 『한원』 삼한 편목의 구성과 특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준성(Lee, Jun-Sung). (2021).수ㆍ당대의 삼한 인식 변화와 『翰苑』의 편목 설정. 선사와 고대, 67 , 37-55

MLA

이준성(Lee, Jun-Sung). "수ㆍ당대의 삼한 인식 변화와 『翰苑』의 편목 설정." 선사와 고대, 67.(2021): 37-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