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살포의 편년과 부장양상

이용수 149

영문명
Chronology and Burial Aspect of Salpo in Baek-je: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excavated items of Silla and Gay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상원(Lee, Sang-Wo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7輯, 171~212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백제지역에서는 논의 물꼬를 트거나 막을 때 사용되어 수전 농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농구로 알려져 있는 살포의 출토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백제지역에서 살포는한강과 금강, 만경강, 영산강, 섬진강 등 수계를 중심으로 한 지역과 서해와 남해를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출토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금강을 수계로 하는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특징이 있다. 금강유역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살포는 신부의 형태에 따라 방형과 제형, 반원형으로구분된다. 분류된 형식을 중심으로 신부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공부의 길이도 지나치게길어지는 변화가 확인된다. 또한, 신부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신부의 길이가 너비에 비해길게 제작되는 변화도 확인된다. 백제 수전 농업의 발전과정은 수전과 수리관개시설에 대한 문헌 기록을 통해 크게 4 세기 이전과 4~5세기, 5세기 후반으로 구분된다. 이를 살포로 보면 백제지역에서 수전 농업이 가장 활성화되었던 시기는 5세기 후반이후로 추정된다. 5세기 후반의 백제는 웅진천도와 더불어 정치적, 경제적으로 혼란의 시기였다. 이러한 시기를 극복하고, 안정화되기 시작한 때가 무령왕이 즉위한 이후이다. 심해진 정치적불안과 농민경제의 파탄으로 많은 유식자가 발생하였고, 이는 곧 국가 재정의 압박을 초래하였다. 이에 한강유역을 상실한 이후 축소된 경제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방편과 유식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강유역권의 개발을 선택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강유역권을 중심으로 유식자를 귀농시켜 수리시설의 보수와 확충을 담당하게 했으며, 농업생산의 증대를 도모, 왕정의 물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방증해주는 자료가 금강을 수계로 집중 출토되는 살포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영역 확대도 실시하였으며, 특히 대가야지역으로의 진출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영역 확장은 편입된 영토의 유식자들도 흡수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유식자들 중 백제의 백성은 본래의 거주지로 귀농되었지만, 영토 확장 과정 속에서 편입된 유식자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인구가 희박한 지역에 사민되기도 하였을 것이다. 살포는 이러한 유식자들의 사민 정책 속에서 대가야의 매장의례를 보여주는 축소모형농공구와 함께 백제지역으로 유입되어 들어 온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in the Baek-je, there have been a growing number of excavations of salpo, known as agricultural tool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rice paddy agriculture, used to open or block water skewer. In the Baek-je, Salpo is found in areas centered on water systems such as the Han-River, Geum-River, Mangyeong-River, Yeongsan-River, and Seomjin-River, especially in areas centered on the West and South Seas.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zed by intensive identification in areas where Geum-River is used as a drainage system. The Salpo in Geum-River area is divided into square, trapezoidal, and semicircular depending on the body part. As the size of body part becomes smaller around the classified format, the length of anaxhandle can be seen to be too long. In addition, the smaller the size of body part, the longer the length of body part is compared to the wid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Baek-je s rice paddy agriculture is largely divided into prior to the 4th century, the 4th and 5th centuries, and the late 5th centuries, according to theliterature on the rice paddy and irrigation facilities. It is estimated that rice paddy agriculture was most active in the Midwest through Salpo, an iron agricultural tool closely related to rice paddy agriculture, since the late 5th century. In the late 5th century, Baek-je, along with transfer of the capital to Ungjin, was a time of political and economic turmoil. It was after King Muryeong took the throne that he overcame these times and began to stabilize. Around this time, intensified political unrest and the collapse of the peasant economy caused many idlers, which soon led to pressure on the national finances. Since the loss of the Han-River area, it has been known that it has chosen to develop the Geum-River area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idlers and to expand its reduced economic base. It is believed that the government wanted to idlers turn to farming around the Geum-River area to repair and expand irrigation facilities, and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lay the economic foundation for the royal government. Data that proves the development of the Geum-River area can be said to be a Salpo that is excavated from the Geum-River through the water system. Meanwhile, the expansion of the area to the outside was also carried out, especially in the Dae-Gaya region. This expansion is believed to have absorbed the occupied territorial idlers. Those who were Baek-je s people would have been farmed back to their original settlements, but in some cases, the new Idler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ial expansion process would have been Samin in sparsely populated areas. It is believed that the spread of Salpo into the Midwest was introduced in the Samin policies of idlers, the relationship with Dae-gaya can also be noted, given that it is being excavated with miniature agricultural tools that show the burial rites of Dae-gaya.

목차

Ⅰ. 머리말
Ⅱ. 금강유역 출토 자료의 분포
Ⅲ. 금강유역 살포의 편년
Ⅳ. 금강유역 살포의 부장양상 및 출현 배경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원(Lee, Sang-Won). (2021).백제 살포의 편년과 부장양상. 선사와 고대, 67 , 171-212

MLA

이상원(Lee, Sang-Won). "백제 살포의 편년과 부장양상." 선사와 고대, 67.(2021): 171-2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