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肅愼國記』의 成書와 7세기 唐의 肅愼 소환

이용수 36

영문명
Publication of Suksingukgi(肅愼國記) and Recall of Suksin by Tang Dynasty During the Seven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권순홍(Kwon, Soon-Ho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7輯, 127~1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첫째, 『숙신국기』의 성서시기를 西晉代로 추정했던 기왕의 견해를 비판하고, 唐代설에 무게를 싣는 것이다. 西晉代설의 두 가지 근거, 『한원』 숙신전의 위략왈’ 부분은 ‘숙신국기왈’의 오류라는 추정과 『한원』의 『업중기』 인용은 『숙신국기』의 기술범위를 서진대로 한정한다는 주장을 반박하였다. 오히려 7세기에 비로소 『숙신국기』가 書名으로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진서』숙신씨전은 『숙신국기』를 전재한 것이라는 기왕의 추정에 문제를 제기하고, 唐代에 여러 버전의 숙신기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逸文의 비교ㆍ검토를 통해, 『한원』에 인용된 『숙신국기』와 『태평어람』에 인용된 『숙신국기』, 『진서』가 참고했던 숙신 관련 기록 등이 각기 다른 버전의 ‘숙신기’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셋째, 숙신이 正史 외국열전과 類書 등의 편목으로 구성되고, 여러 버전의 ‘숙신기’가 존재했던 현상을 7세기 당의 숙신 소환으로 규정하는 것이다. 소환의 배경에는 중국 중심으로 국제질서를 재편하려는 당의 의도가 숨어 있었다고 설명하였다. 周代 이래 숙신의 공물로서 楛矢와 石砮는 중국 왕조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지표였고, 고숙신과 숙신은 엄밀히 구분될 필요 없이, 중국 중심 국제질서의 표상으로서 소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has three purposes. First, this article aims at criticizing the previous view that assumed the publication time of Suksingukgi(肅愼國記) as the Western Jin(西晉) dynasty, and adding weight to the theory that assumed the publication time as Tang dynasty. This article refutes the two grounds of the West dynasty theory. One is the presumption that the “Wiryak Wal(魏略 曰)” part of the Suksinjeon in Hanwon(翰苑) is an miswriting of “Suksingukgi Wal(肅愼 國記 曰)”, and the other is the argument that the citation of Eopjunggi(鄴中記) in Hanwon limits the technical scope of the Suksingukgi to Western Jin. This article rather emphasizes that it should be noted that it is only in the seventh century that Suksingukgi appeared as the title of the book. The second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aise a question of the previous assumption that the Suksinssijeon(肅愼氏傳) in Jinseo(晉書) was a reprint of the Suksingukgi, and to set out the possibility that several versions of the record of Suksin existed during Tang dynasty. Through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remaining texts, this article set out the possibility that Suksingukgi quoted in Hanwon, Suksingukgi quoted in Taepyeongeoram(太平御覽), and Suksin-related records referenced by Jinseo are different versions of the record of Suksin. The third purpose is to define the composition of Suksin as one category of the biographies of foreign countries in the authentic history books and Leishu(類書), and thesituation in which several versions of the record of Suksin existed as the recall of Suksin by Tang Dynasty during the seventh century. This article explains that Tang s intention to reorganize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China was hidden behind the recall. Since the Tang dynasty, the tribute of the Suksin, Hosi(楛 矢, bush clover arrow) and Sungno(石砮, stone arrowhead), have been indicators of the Chinese dynasties’ prime, and Gosuksin(古肅愼) and Suksin, which do not need to be strictly separated, were recalled as symbols of the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China.

목차

Ⅰ. 머리말
Ⅱ. 『肅愼國記』의 성서시기
Ⅲ. 『晉書』 肅愼氏傳과 『肅愼國記』의 관계
Ⅳ. 7세기 唐의 肅愼 소환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순홍(Kwon, Soon-Hong). (2021).『肅愼國記』의 成書와 7세기 唐의 肅愼 소환. 선사와 고대, 67 , 127-146

MLA

권순홍(Kwon, Soon-Hong). "『肅愼國記』의 成書와 7세기 唐의 肅愼 소환." 선사와 고대, 67.(2021): 127-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