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7세기 삼국 간 전쟁포로의 동향과 그 의미

이용수 136

영문명
Trends and meanings of prisoners of war between the three kingdoms in the 4~7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장창은(Jang, Chang-Eu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7輯, 241~27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은 4~7세기 중반 상호 간 공방전을 전개하였다. 그에 따른 전쟁포로의 발생이 빈번하며, 『삼국사기』에는 그 숫자 정보가 남아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생포를 의미하는 ‘虜’ ㆍ‘獲’ㆍ‘掠’ㆍ‘俘’와 ‘虜掠’ㆍ‘虜獲’ㆍ‘虜得’ㆍ‘掠取’ㆍ‘俘虜’ㆍ‘俘獲’ 관련 기록을 순수 전쟁포로로 파악하였다. ‘殺虜~人’ㆍ‘殺掠~人’은 ‘죽이거나 사로잡음’으로 해석해 편의상50%만 포로 인원으로 산정하였다. 4~7세기 삼국 간 전쟁 포로 인원의 득실을 따져보면, 고구려는 15,611여 명 획득, 백제는 14,960여 명 획득, 신라는 31,571명 상실로 산정되었다. 고구려와 백제가 신라에 비해 전쟁포로의 획득에 우세하였다. 4세기에 고구려는 백제에게 1,011명의 전쟁포로를 획득하였고, 200명을 상실해 811 명의 전쟁포로를 더 얻었다. 5세기도 고구려가 백제로부터 9,500명의 포로를 얻었다. 광개토왕으로부터 이어진 백제에 대한 고구려의 우위가 장수왕대(412~491)까지 지속되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는 백제에 대한 우위를 이어가 6세기 초 1,300명의 전쟁포로를 빼앗아 갔다. 7세기대는 삼국 간에 본격적인 영역 쟁탈전이 전개되었다. 고구려는11,000명의 포로를 획득하였고, 7,000여 명을 상실함으로써 4,000여 명의 이득을 보았다. 백제는 1,300여 명의 포로를 획득하였고, 13,730명을 빼앗겨 12,430여 명의 손실을 입었다. 신라는 16,730여 명의 포로를 확보하였고, 9,300명의 포로를 상실해 7,430 명의 이득을 보았다. 전쟁포로의 신분은 전투원과 비전투원으로 나뉘며, 전투원은 일반 군인과 지휘관급으로 구분된다. 지휘관급으로 보면, 백제의 피해가 가장 컸다. 비전투원 대부분은 백성들이었다. 고구려가 획득한 포로는 백성 18,650명, 군인 4,150명이다. 반면에 백성 3,000 명, 군인 4,200명의 포로를 빼앗겼다. 곧 고구려는 백제 및 신라와의 전쟁에서 백성의손실을 거의 입지 않았다. 이는 전쟁포로가 발생한 삼국 간 전투가 주로 고구려의 선제공격으로 전개된 데 따른 결과였다. 백제가 획득한 전쟁포로는 백성 20,800명, 군인 19,700명이었다. 백제는 백성 10,650 명, 군인 14,871명의 손실을 입었다. 백제는 7세기 전반기까지 고구려에, 이후에는 신라에게 백성ㆍ군인을 가리지 않고 다수의 전쟁포로를 빼앗겼다. 특히 648년에 김유신군과 벌인 일련의 전투에서 군인포로 10,000명을 잃었다. 사비기 백제가 동원할 수 있는군사가 40,000명임을 감안할 때 큰 타격이었다. 신라가 획득한 전쟁포로는 백성 3,000 명, 군인 13,728명으로 군인이 많다. 이는 신라가 얻은 전쟁포로가 대부분 수세적 국면에서 발생한 전쟁 때 승리의 결과물로 얻은 군인포로임을 의미한다. 신라가 상실한 포로는 백성 28,800명, 군인 19,501명으로 백성의 손실 비중이 더 높다. 전쟁포로들은 생포해 온 국가의 일반 백성들보다 신분적 처지가 열악해 奴婢와 같은신분으로 살아갔다. 이들은 농민으로서 살아가거나 축성 등 각종 노역에 동원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국가에 귀속된 공노비로서 존재하였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Three Kingdoms launched a mutual battle in the 4~7th centuries. Consequently, the occurrence of prisoners of war is frequent. The number information remains in the Samguksagi. In this paper, records related to ‘虜’ㆍ‘獲’ㆍ‘掠’ㆍ‘俘’ and ‘虜掠’ㆍ‘虜獲’ㆍ‘虜得’ㆍ‘掠取’ㆍ‘俘虜’ㆍ‘俘 獲’ which mean capture, were identified as pure prisoners of war. ‘殺虜~人’ and ‘殺掠~人’ were interpreted as ‘killing or capturing’ and only 50% of the prisoners werecalculated. Considering the gains and losses of the prisoners of war between the Three Kingdoms in the 4~7th centuries, Goguryeo was calculated with 15,611 people, Baekje with 14,960 people, and Silla with 31,571 people lost. Goguryeo and Baekje dominated the acquisition of prisoners of war compared to Silla. In the 4th century, Goguryeo acquired 1,011 prisoners of war from Baekje, and lost 200 prisoners of war, resulting in 811 more prisoners of war. In the 5th century, Goguryeo acquired 9,500 prisoners from Baekje. It can be seen that Goguryeo’s dominance over Baekje from King Gwanggaeto lasted until King Jangsu. Goguryeo continued its dominance over Baekje and took 1,300 prisoners of war in the early 6th century. In the 7th century, a full-fledged battle for territory took place between the three kingdoms. Goguryeo acquired 11,000 prisoners and lost 7,000 people, resulting in 4,000 benefit. Baekje acquired 1,300 prisoners and lost 13,730 people, resulting in 12,430 losses. Silla acquired 16,730 prisoners and lost 9,300 prisoners, benefiting 7,430. The status of prisoners of war is divided into combatants and non-combatants, and combatants are divided into general soldiers and commanders. At the commander level, Baekje suffered the most. Most of the non-combatants were people. The prisoners obtained by Goguryeo were 18,650 people and 4,150 soldiers. Goguryeo lost 3,000 people and 4,200 soldiers. Goguryeo suffered little loss from the people in the war against Baekje and Silla. This was the result of the battle between the three kingdoms, where the prisoners of war occurred, mainly unfolded as a preemptive attack by Goguryeo. Baekje’s prisoners of war were 20,800 people and 19,700 soldiers. Baekje suffered losses of 10,650 people and 14,871 soldiers. Baekje lost large-scale prisoners of war to Goguryeo until the first half of the 7th century and later Silla, regardless of people or soldiers. In particular, 10,000 soldiers were taken away in a series of battles against Kim Yu-shin in 648. Considering that there are 40,000 soldiers that Baekjecan mobilize during the Sabi capital period, it was a big blow. Silla’s prisoners of war were 3,000 people and 13,728 soldiers, with many soldiers. This means that most of the prisoners of war obtained by Silla were soldiers prisoners obtained as a result of victory during the war that took place in a defensive phase. The number of prisoners lost by Silla was 28,800 people and 19,501 soldiers, with a higher proportion of the people’s losses. The prisoners of war lived as slaves because their status was inferior to the general people of the country they had captured alive. They were mobilized for various labor such as living as farmers or building castles. In most cases, it would have existed as a public slave belonging to the state.

목차

Ⅰ. 머리말
Ⅱ. 『삼국사기』 전쟁포로 기록의 讀法
Ⅲ. 전쟁포로의 시기별 발생 규모
Ⅳ. 삼국 간 전쟁포로 동향의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창은(Jang, Chang-Eun). (2021).4~7세기 삼국 간 전쟁포로의 동향과 그 의미. 선사와 고대, 67 , 241-271

MLA

장창은(Jang, Chang-Eun). "4~7세기 삼국 간 전쟁포로의 동향과 그 의미." 선사와 고대, 67.(2021): 241-2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