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 대비 역량에 관한 연구

이용수 248

영문명
A Study on the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of General Hospital nurses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안전문화학회
저자명
한승희(Han Seung Hee)
간행물 정보
『안전문화연구』제14호, 237~24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대비태도, 임상수행능력, 회복탄력성 및 재난대비역량 정도를 파악하고 재난대비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비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기반으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대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기본 자료를 파악하여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G광역시와 S시에 소재한 종합병원 4곳에 근무 중인 18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 23.0 version Program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였고, 재난대비태도, 임상수행능력, 회복탄력성, 재난대비역량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난대비태도, 임상수행능력, 회복탄력성, 재난대비역량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 검증은 Scheffe’s test를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재난대비태도, 임상수행능력, 회복탄력성, 재난대비역량과의 상관관계는 Pe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고 재난대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재난대비태도, 임상수행능력, 회복탄력성, 재난대비역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재난대비태도와 임상수행능력(r=.689, p<.001), 재난대비태도와 회복탄력성(r=.278, p<.001), 재난대비태도와 재난대비역량(r=.389,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임상수행능력과 회복탄력성(r=.363, p<.001), 임상수행능력과 재난대비역량(r=.467, p<.001)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회복탄력성과 재난대비역량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572, p<.001). 재난대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재난대비태도, 임상수행능력, 회복탄력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모형 설명력은 31.5%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7.783, p<.001). 재난대비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회복탄력성(β=.319, p<.001), 임상수행능력(β=.278, p<.002)로 나타나 회복탄력성과 임상수행능력을 강화할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종합병원 간호사들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추가하여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resilience, and disaster preparedness level of general hospital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thereby strengthening the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of general hospital nurses. We want to provide data. Based on this stud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 program that can strengthen the basic data that can strengthen the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of general hospital nurses. As the study participants, 185 people working in 4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G and S citi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IBM SPSS Win 23.0 version Program was u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used, an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used for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resilience, and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gree of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resilience, and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Scheffe s test was performed for post-mortem verification. Pe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onducted for correlation with the subject s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resilience, and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and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for factors affecting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subjects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resilience, and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and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r=.689, p<.001),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and recovery Resilience (r=.278, p<.001),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and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r=.389, p<.001)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and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and resilience (r= .363, p<.001),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and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r=.467, p<.001) were also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silience and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r=.572, p<.001).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disaster preparedness attitude,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and resilience as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the overall model explanatory power was .31.5%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27.783) , p<.001). Factors influencing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include resilience (β=.319, p<.001) and clinical performance capability (β=.278, p<.002). It i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s necessary, and repeated research is necessary by adding variables that can affect general hospital nur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승희(Han Seung Hee). (2021).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 대비 역량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4), 237-249

MLA

한승희(Han Seung Hee). "종합병원 간호사의 재난 대비 역량에 관한 연구." 안전문화연구, .14(2021): 237-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