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선사시대 한일 대외교류의 통시적 검토

이용수 403

영문명
Diachronic Review on Foreign Exchange between Korea and Japan in Prehistoric Times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천선행(Cheon, Seon hae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4호, 5~3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기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시기별 교류 지표의 수량, 범위, 분포상을 검토하여, 교류 추이와 배경을 검토한 것이다. 그 결과, 교류 지표는 신석기시대 동안 특산물을 포함하여 도구 및 원자재, 장신구, 토기가 중심이었다가, 청동기시대에는 특정 재화보다 벼와 같은 특산물로 전환되고, 토기문양 등 상징의 정보전달이 수반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 변화에는 한반도에서 청동기시대로 진입하여 흑요석을 필요로 하지 않는 생업경제와 마제석기의 확산, 상이한 관념체계에 이유가 있다고 보았다. 교류양상에 대해서는 신석기시대 조·전기에 활발한 외양성 어로활동을 바탕으로 양 지역의 접촉이 긴밀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대마도를 접촉지대로 이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남해안 각 집단과 서북규슈 각 집단과의 개별적인 교류관계가 형성되었다고 보았다. 중기부터는 교류 빈도가 줄어들고 특정 집단을 교류 창구로 이용하고 그 양상이 후·말기까지 지속된다. 다만 중기와 후·말기 교류양상의차이는 특정 집단을 교류창구로 하여 유입된 재화들이 다시 주변집단으로 재파급되는 유통구조에 있다고 추정하였다. 청동기시대에는 다시 한반도 각지와 서일본 각지와의 다원적 관계가 형성되나, 신석기시대와 같은 교환체계보다는 인적 교류, 정보 전달과 같은 전파양상에 가깝다. 변화 배경으로 청동기시대 지역문화 형성과 전개, 규슈지역으로 파급되는 서일본 문화의 영향, 조몬 후기후반부터 진행되는 무문화를 들 수 있으며, 한반도계 문양요소는 교류가 긴밀했던 지역보다 그 주변에서 수용되고 지역 집단에 융화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view quantity, range, distribution of exchange index by period, and investigate development in exchange by time and background, especially based on existing research findings. Consequently, it’s assumed that the exchange index focused on tool, raw materials, accessory, and earthenware including specialties during the Neolithic age, while it converted to specialty like rice, rather than specific commodities, accompanied with symbolic information transmission like pattern of earthenware. The changes in the exchange index resulted from subsistence economy which does not require obsidian, expansion of polished stone tool, and different ideal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entering into the Bronze Age. As to the exchange aspects, there were close, active exchanges between two regions based on oceanic fishing activity in the early days of the Neolithic age. Daemado was used for contact and there’re individual exchanges and relationship between groups located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and northwest Kyushu. The exchange frequency decreased from the middle period and specific group was used as a bridge of exchange, which continued until the latter period.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exchange aspects between the middle and latter period arose from the difference in distribution structure as the commodities imported through specific group as a bridge of exchanges got spread toward surrounding groups. In the Bronze Age, the plura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again between various region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Western Japan, which is rather close to personal exchange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not exchange system like in the Neolithic age. The background on this changes were as follows;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in the Bronze Age, influence of Western Japanese culture spread out toward Kyushu and culture starting from latter Jōmon Period. And the pattern elements that comes from the Korean Peninsula was assumed to be accepted by surroundings, rather than regions with active exchanges and also, harmonized in the regional group as a symbol of exchange.

목차

I. 머리말
II. 신석기시대 대외교류 연구성과와 방향성
III. 병행관계 및 신석기시대교류 양상 복원
IV. 청동기시대 조·전기의 대외교류 양상 검토
V.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전기한일 교류의 변화
VI.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천선행(Cheon, Seon haeng). (2021).선사시대 한일 대외교류의 통시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114), 5-34

MLA

천선행(Cheon, Seon haeng). "선사시대 한일 대외교류의 통시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114(2021): 5-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