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이용수 322

영문명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이우재(Lee, Woojae)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4호, 95~12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역별로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낙랑계토기가 나타나던 시기의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흐름을 분기별로 파악해 보았다. 먼저 변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북한지역 낙랑토기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점차 옅어지면서 독자적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낙랑토기에서 확인되는 특징적 속성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낙랑계토기에서 나타나는 유의미한 속성들을 통해 기종별로 분류 기준을 세워 형식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북한강유역에서 나타나는 물질문화상의 특징적 변화들을 기준으로 단계를 구성하고, 단계별로 낙랑계토기 기종과 형식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낙랑토기 제작기법은 늦은 단계까지 지속되지만 단계적으로 형태·양식적 측면에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 기종과 형식은 단계별로 새롭게 출현하거나 낙랑토기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데 이는 서북한지역과의 지속적 교류에 따라새롭게 등장한 낙랑계토기로 이해된다. 또한 평저호와 타날문단경호는 형식 변화가 단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기에 이를 중심으로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천안의 큰 틀을 설정하였고, 기타 기종들을 단계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 변천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설정한 변천안을 토대로 지역별 낙랑계토기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결과 춘천 지역 취락에서 기원후 1세기 어느 시점에 낙랑계토기가 출현한 이후 2세기에 이르러 주변 지역으로 점차 확산된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 변천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북한강유역 전역에서 낙랑계토기가 확인되는 가운데 가평 대성리 유적, 홍천 태학리 유적 등으로 대표되는 대규모취락들이 각지에서 출현 또는 성장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그리고단계 구분에서의 표지자료를 통해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분기를 Ⅰ기와 Ⅱ-1기, Ⅱ-2기로 나누고각 시기별로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화 및 전개 과정과 기존 편년연구를 통해 알려진 물질문화상의 변화가 상호 연동되어 나아가는 일련의 흐름을 짚어볼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in settlements in the Bukhan River basin. In addition, 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and furthermore, identified the flow of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ttery first appeared. Firs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development, I assumed that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ent through its own changes as the characteristics of Lelang pottery in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gradually faded over time. Thu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identified in Lelang pottery and set up models by establishing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type through the significant properties found in Lelang-type pottery. In addition, I constructed the phases based on characteristic changes in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and looked at the types and models of Lelang-type pottery phase-by-phase. As a result, I could see the making techniques of Lelang-type pottery lasting until late phases, but being transformed in terms of form and style by phase. However, some types and models were newly introduced by phase or strongly influenced by Lelang pottery, which were understood as a newly emerged Lelang-type potteries due to continuous exchanges with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Also, the changes of the Flat-bottomed Jar and the Beating- Patterned, Short-Necked Jar were more clearly identified than other models. Therefore, I proposed an idea how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the two models and positioning other models within the phase. Next, I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based on the idea set by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believed that Lelang-type pottery appeared at some point in the 1st century A.D. in Chuncheon region and gradually spread to neighboring areas in the 2nd century. While Lelang-type pottery was identified throughout the Bukhan River basin at the last phase of the development, I understood that large-scale settlements like Daeseong-ri site in Gapyeong or Taehak-ri site in Hongcheon had appeared or grown in various regions. Through the changes, aspects of development, and markers used for phase division, I divided the divergence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into Phase Ⅰ, Phase Ⅱ-1, and Phase Ⅱ-2, and examined it phase-by-phas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oint out a series of flows in which the phase-by-phas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and the changes in material culture known through existing polarization studies are being interconnected.

목차

I. 머리말
II. 형식 분류
III. 단계 설정 및 변천 양상
IV. 지역별 전개 양상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우재(Lee, Woojae). (2021).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한국상고사학보, (114), 95-126

MLA

이우재(Lee, Woojae).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한국상고사학보, .114(2021): 95-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