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양식 토기 생산의 고고학적 함의

이용수 440

영문명
Archaeological implications for the Gyeongju-style earthenware production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고상혁(Ko SangHyuk)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4호, 271~29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생산과 유통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동일지역 내 복수의 생산시설에서 제작된 토기가 동일한 양식을 보여 줄 것인가 하는 의문에서 이 글을 시작하였고, 분석 결과 생산의 관점에서 토기 양식이가지는 고고학적 함의를 다각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경주지역에서는 5세기대 복수의 토기 생산시설이 확인되므로 이러한 문제의 해답을 찾기에 가장 적절할 공간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토기 양식을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하는데 있어서 가장적합한 것이 경주 양식토기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경주양식토기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 황남대총 남분 출토 토기를 대상으로 5세기대 고배의 형태적 속성을 생산 기술의 변화라는 시각에서 관찰,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경주양식 토기는 경주 사라리-경주 월성북고분군-울산 중산동-울산 산하동으로 이어지는 선을 기준으로 경주 동북양식과 경주 서남양식이 구분되는 소지역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경주양식 내의 소지역권이 생산시설 유구를 통해 생산과 결부되었음을 설명하고, 이는 토기 양식과 생산의 관련은 고분 구조를 통해서 검증되었다. 그리고 경주 양식 토기를 생산이라는 관점에서 설정된 5세기대의 경주 동북과 서남 두 소지역양식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으며 중기를 기점으로는 소지역색이 점차 약해지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서 이를 경주양식 토기로의 제일성이 갖추어지는 과정으로 해석하였다. 한편, 소지역권에서 생산된 고배는 각기부나 돌대 등에서 소지역 양식의 속성이 일부 존속되고 있어서, 이는 해당 소지역의 토기 생산 기술의 전통이 일부 유지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ancient earthenware, the driving force of this article is whether the pottery produced at multiple kilns in the region has the same style. Since earthenware production facilities of the 5th century were confirmed in Gyeongju, it is an appropriate area to check whether the sam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match. By closely observing and examining the morphological attributes of Mounted dishes in the 5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ical change, it was confirmed whether sub-regional areas were distributed within the Gyeongju.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spatially that the Mounted dish with two layers of openwork could be divided into Gyeongju northeast style and Gyeongju southwest style based on the boundary line connecting Gyeongju Sarari, Wolseong north side and Ulsan Joongsandong, Sanhadong. The divided pottery distribution area is also consistent with the type classification range of tombs. Starting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southern grave of Hwangnam grand tomb, the region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distribution gradually weakens. It was interpreted that the change in the technical style made in the process of producing a huge amount of earthenware. In addition, the location of the pottery production facility considered the topography and the distance from the adjacent facilities in order to smoothly supply earthenware to a number of tomb group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types of pottery did not necessarily belong to political power. In this way, a completely new interpretation of the pottery type study was possible under the assumption that production and distribution did not unilaterally belong to a political power.

목차

I. 머리말
II. 전·중기 무거식고배 분석
III. 경주양식 연구의 전제
IV. 토기양식의 고고학적 함의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상혁(Ko SangHyuk). (2021).경주양식 토기 생산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114), 271-295

MLA

고상혁(Ko SangHyuk). "경주양식 토기 생산의 고고학적 함의." 한국상고사학보, .114(2021): 271-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