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흉노 고분 출토 칠이배

이용수 180

영문명
Lacquer ‘Ear Cup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of the Xiongnu: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양은경(Eun Gyeng Ya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4호, 127~15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필자는 이번 연구에서 흉노 칠이배는 자체 생산품은 없으며 한나라에서 제작된 제품이라는 결론을 우선적으로 도출한 후, 역으로 그 연구대상을 흉노 출토품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한나라 본토와 낙랑, 남월, 하서지역 고분 출토 칠이배까지 비교대상으로 포함시켜 고찰해 보았다. 또한 본고에서는 흉노 고분에서 발견된 칠이배의 현상과 명문 내용을 중점적으로 소개하던 기존의 연구방법에서 벗어나 생산지를 포함한 유통 그리고 용도에 대해서도 고찰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매장의례를포함한 고분문화까지 살펴보고자 노력하였다. 우선 생산지를 파악하기 위해 몽골 경내 흉노 고분에서 출토된 칠이배 중 명문과 보존상태가 양호한 6점을 기준으로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나라 수도 장안에 소재한 고공에서 생산한 제품이 사천지역 생산품보다 상대적으로 더욱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중국 본토와 낙랑, 남월지역에서 발견된 한나라 칠이배는 사천지역 촉군서공과 광한군공 생산품이 장안 고공 제품보다더욱 우위를 차지하는 것과는 다른 내용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옻나무의 서식지와 모방제품 유무를기준으로 판단하여도 흉노 칠이배는 자체 생산은 힘들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흉노의 양상은낙랑, 남월지역 칠이배가 수입품 이외에 자체 생산품도 존재하였던 내용과는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흉노 고분 출토 칠이배의 생산지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이배의 제작 시기가 B.C. 1세기에 집중되어있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그 원인에 대해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B.C. 1세기 한 무제가 집정한 이후 흉노 선우와 왕자, 귀족들이 빈번하게 장안을 방문 혹은 입조하였던 역사기록에 주목하게 되었다. 또한 입조 당시 흉노인들은 한나라로부터 공식적으로 물품을 사여 받은 것 이외에 장안 상림원에 위치한 건장궁, 포도궁 등에 거주하면서 각종 한나라 문물을 직접 체험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결국 B.C. 1세기에는 앞 시기와는 달리 흉노 상층 계급인들에 의해 한나라 문물이 전래되게 되었으며, 그 문물 속에는 한나라 고분과 매장의례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해 보았다. 칠이배라는 단독 유물을 통해, 한나라 고분문화의 흉노 전래라는 필자의 가설은 다소 위험한 발상으로 생각된다. 이에 필자는 흉노 고분에서 출토된 칠이배의 용도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자들의 동의를 구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필자는 흉노인들이 한나라에 요구하였거나 사여 받은조공품에는 한나라 술을 비롯하여 누룩, 고두밥 등 술을 빚는 재료들이 포함되었던 사실에 주목하였다. 결론적으로 흉노 상층 계급인들은 한나라 곡주를 좋아하였으며, 그 결과 한나라 술잔이었던이배도 함께 요구하였던 것으로 추론하였다. 또한 실생활에서 주기 혹은 식기로 사용된 칠이배는사후에는 칠반 혹은 칠안과 함께 흉노 고분에 부장되게 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다시 말해 흉노 고분에 매장된 칠이배는 한나라에서 수입된 칠기와 술이 유목민족의 매장의례 중 일부분으로 녹아들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남월지역에서 발견된 한나라 칠이배는 사천지역 촉군서공과 광한군공 생산품이 장안 고공 제품보다더욱 우위를 차지하는 것과는 다른 내용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옻나무의 서식지와 모방제품 유무를기준으로 판단하여도 흉노 칠이배는 자체 생산은 힘들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흉노의 양상은낙랑, 남월지역 칠이배가 수입품 이외에 자체 생산품도 존재하였던 내용과는 다른 것으로 판단하였다. 흉노 고분 출토 칠이배의 생산지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이배의 제작 시기가 B.C. 1세기에 집중되어있는 사실에 주목하게 되었으며, 그 원인에 대해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B.C. 1세기 한 무제가 집정한 이후 흉노 선우와 왕자, 귀족들이 빈번하게 장안을 방문 혹은 입조하였던 역사기록에 주목하게 되었다. 또한 입조 당시 흉노인들은 한나라로부터 공식적으로 물품을 사여 받은 것 이외에 장안 상림원에 위치한 건장궁, 포도궁 등에 거주하면서 각종 한나라 문물을 직접 체험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결국 B.C. 1세기에는 앞 시기와는 달리 흉노 상층 계급인들에 의해 한나라 문물이 전래되게 되었으며, 그 문물 속에는 한나라 고분과 매장의례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해 보았다. 칠이배라는 단독 유물을 통해, 한나라 고분문화의 흉노 전래라는 필자의 가설은 다소 위험한 발상으로 생각된다. 이에 필자는 흉노 고분에서 출토된 칠이배의 용도를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연구자들의 동의를 구하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필자는 흉노인들이 한나라에 요구하였거나 사여 받은조공품에는 한나라 술을 비롯하여 누룩, 고두밥 등 술을 빚는 재료들이 포함되었던 사실에 주목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itiated based on the conclusion that the lacquer ear cups of the Xiongnu were not produced by the Xiongnu people themselves but by craftsmen of the Chinese Han Dynasty. Therefore, the areas of study were not limited to the territory of the Xiongnu but also included the Han Dynasty and the areas of Lelang, Nanyue and Hexi in China. In addition, this study o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utilization of lacquer ear cups departs from existing research which focused mainly on the origins and development of the cups and their inscriptions. Before mentioning the detail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for the three keywords of this studyare as follows: first, most lacquer ear cups with the inscription ‘Xiongnu’ were produced by craftsmen from Chang an (present-day Xi an) in Han China and mainly dare from the first century B.C.; second, the distribution of the cups was estimat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Chanyu (supreme ruler) and nobles of the Xiongnu visited Chang an in the first century B.C.; third, lacquer ear cups were mainly used to contain Chinese foods or alcohols; and fourth, it is estimated that the cups were buried in Xiongnu tomb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urial rituals of the Han Dynasty. In order to identify the production areas of the cups, their well-preserved features and inscriptions were the main criteria for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mong the lacquer ear cups excavated from Xiongnu tombs, relatively more of them were made by craftsmen based in Chang an, the capital of the Han Dynasty, than in Sichuan. Such a finding shows the difference in the fact that the lacquer ear cups discovered in the central area of China and the Lelang and Nanyue areas were mostly made by craftsmen in Shu Han and Guanghan in Sichuan, not in Chang an. Moreover, judging from the fact that no imitation products have ever been found, and no lacquer trees grew in the territory of the Xiongnu, it is assumed that it was difficult to produce lacquer ear cups in Xiongnu - regardless of the actual inscriptions on the cups.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lacquer ear cups excavated from the ancient tombs of the Xiongnu showed that they were mainly produced in the late first century B.C., which led to a further examination to determine the reason, the result of which shows that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he Xiongnu and the Han Dynasty changed significantly after the regime of Emperor Wu of Han in the first century B.C., when Chanyus, princes, and nobles of Xiongnu frequented Chang an. It is also assumed that the people of Xiongnu received official gifts from the Han Dynasty when they attended the royal court, and that they also came into contact with the culture and products of the Han, including their clothes, cuisine, and housing, while they were staying at the royal palaces (Jianzhang Palace, Putao Palace, etc.) in Shangliyuan, Chang an. Therefore, it seems evident that the culture and products of the Han Dynasty were directly circulated by the Xiongnu elite in the late first century B.C., unlike in the previous periods, and this would have included the tomb and burial practices of the Han. Such assumptions are supported by research on the utilization of lacquer ear cups excavated from Xiongnu tombs, attempting to be agreed by other researchers.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alcohol and ingredients for making alcoholic drinks were included in the list of tributary goods which the Xiongnu were required to give to the Han Dynasty, or which the latter gave to the Xiongnu. In conclusion, it is conjectured that the upper-class Xiongnu enjoyed the grain-based wines of the Han, and that Chinese ear cups were used to serve alcohol accordingly. It is also assumed that the type of lacquer ear cups used to contain alcohol or food in daily life were also buried together with other lacquerwares in Xiongnu tombs.

목차

I. 머리말
II. 생산: 공관명과 관직명
III. 유통: 승여와 연호
IV. 용도: 술 유통과 매장의례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경(Eun Gyeng Yang). (2021).흉노 고분 출토 칠이배. 한국상고사학보, (114), 127-156

MLA

양은경(Eun Gyeng Yang). "흉노 고분 출토 칠이배." 한국상고사학보, .114(2021): 127-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