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한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산지추정과 의미

이용수 295

영문명
The Provenance and meaning of bronze objects from bronze age-early iron ag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조진선(Cho, Jinson) 이은우(Lee, Eunwoo)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14호, 63~9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남한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 가운데 납동위원소비 분석이 이루어진 171점을대상으로 원료산지를 재판별하고,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필자들은 기존의 동북아시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와 남한지역 납동위원소비 분포도를 결합하여 청동기의 원료산지를추정하였다. 비파형동검문화 청동기들은 동검의 형식과 원료산지 사이에서 상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경부에 홈이 있는 비파형동검은 남한3지구(충청도·전라도·경상도 북부 일부)로, 요동지역과 유사한 형식이거나 마제형 검파두식과 동반한 비파형동검은 남한2지구(강원도 동남부)로 추정된다. 평창 하리와 대전 비래동에서 출토된 이형 비파형동검은 중국북부로 추정된다. 세형동검문화 청동기들의 원료산지는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성립기에는 중국북부나 전북일대(남한3지구)의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발전기에는 남한2지구까지 확대된다. 원료의 비중도 남한2지구가 가장 높은데, 이는 남한에서 유일하게 청동기의 주원료인 구리, 주석, 납이 모두 산출되는 것과 관련될 것이다. 쇠퇴기에는 이전까지 15% 정도에 머물던 중국북부산 원료의 비중이 85% 정도로 급증한다. 이러한 변화는 쇠퇴기(원삼국시대)부터 남한지역과 중국북부지역의 교류관계가훨씬 더 활발해졌음을 의미한다. 한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 원료산지의 특징은 남한지역과 중국북부산 원료를 일찍부터사용하였으며, 강원도 동남부(남한2지구)에서 많은 양의 원료를 수급하였고, 경상분지(남한1지구) 와 차령산맥 이북지역(남한4지구)의 원료는 거의 사용되지 않은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171 bronze objects, of which lead isotope were analyzed, from bronze age to early iron age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were reexamined and the aspect of transition was investigated. In the case of the bronze objects of Lute-shaped bronze dagger culture, Lute-shaped bronze dagger with grooved in the neck are related to the zone 3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Lute-shaped bronze daggers accompanied by dagger pommel ornament, shaped after a horseshoe or similar type with Liaoning area are in the zone 2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Lute-shaped bronze daggers with unusual shape from Pyeongchang Ha-ri and Daejeon Birae-dong are believed from Nothern China. The ore source of the bronz ebjects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varies from time to time. Raw materials of North Jeolla Province in the zone 3, where archaeological sites are located, or raw materials of Northern China were mainly used during the establishment period. Raw materials of the Northern China, zone 2 or zone 3 were mainly used during the developing period. In particular, zone 2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has a high proportion because it is the only region in South Korea where copper, tin, and lead, the main ingredients of bronze, are all produced. Raw materials from northern China, which had previously remained around 15%, suddenly surged to 85% during the declining period. It may be due to the much more active ex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ern China from the time of the Three Kingdom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Bronze Age-early Bronze Age raw materials were the early use of raw materials in Southern Korean peninsula and northern China. In addition, most of the raw materlas are in zone 2 rather than zone 1 or zone 4.

목차

Ⅰ. 머리말
Ⅱ. 납동위원소비 분석과 청동기의 산지추정
Ⅲ.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산지추정
Ⅳ.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 원료산지의 변화 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진선(Cho, Jinson),이은우(Lee, Eunwoo). (2021).남한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산지추정과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114), 63-94

MLA

조진선(Cho, Jinson),이은우(Lee, Eunwoo). "남한지역 청동기-초기철기시대 청동기의 산지추정과 의미." 한국상고사학보, .114(2021): 6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