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메이지시기 오카무라 마스타로(岡村増太郎)의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Okamura Masutaro’s Recognition on Dokdo in his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of the Meiji Period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한철호(Cheolho Han)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24호, 7~46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 메이지시기 오카무라가 집필한 『新撰地誌』⋅『明治地誌』등은 문부성의 검정을받아 널리 사용되었던 대표적인 소학교 지리교과서로 손꼽힌다. 그는 일본영토의 확장과정에 관심을 갖고 지리교과서에 일본영토의 경계와 범주를 정확히 서술하거나 그려놓았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오카무라가 지리교과서에서 독도의 존재를 알고 있음에도 독도를 조선영토로 인식했다는 사실을 분석하였다. 오카무라의 일본영토⋅오키 인식은 난마의 『小學地誌』를 저본으로 『小學地誌字引』을집필하면서 형성되었다고 여겨진다. 문부성 발행의 『小學地誌』에는 독도가 거론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난마가 『內地誌略』에서 竹島⋅松島를 소개하면서도, 오키의 관할범위를 북위 약 35도 50분여∼36도 30분으로 명기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울릉도⋅독도를 일본영토로 간주하지 않은 난마의 인식은 오카무라에게 수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오카무라는 『新撰地誌』에서 울릉도와 독도의 존재를 알면서도 두 섬을 조선의 영토로인식하였다. 조선과 중국 등 주변국이 표시된 「日本總圖」에는 일본영토가 채색된 반면울릉도와 독도로 여겨지는 두 섬은 채색되지 않은 채 해양 영역을 표시한 듯한 빗금이 조선 영역으로 그어져 있다. 일본의 강역을 표시한 「日本全圖」에는 두 섬이 그려지지 않고, 「山陰山陽及南海道之圖」에는 오키까지 표시되었으며, 「亞細亞」에 그어진 일본의 국경선에는 오키가 포함된 반면 독도가 분명하게 제외되었다. 이러한 「亞細亞」의 일본 국경선표시는 현재까지 알려진 ‘문부성검정제’를 받은 지리교과서들 중 가장 시기가 앞선 것으로 판단된다. 독도가 조선영토라는 오카무라의 인식은 『新撰地誌』이후에 집필된 『小學校用地誌』⋅ 『尋常科用日本地理』⋅『明治地誌』⋅『高等小學新地理』⋅『日本地理新問答』에도 견지되었다. 이들 지리교과서의 일본⋅산인도 위치에는 일본 국경의 극단에 있는 섬들과 오키만열거되었을 뿐 독도는 서술되지 않았다. 일본의 모든 영토가 표시된 「大日本全圖」⋅「府縣 明細圖」⋅「大日本帝國全圖」⋅「日本國全圖」등에는 독도가 빠졌고, 조선 등 주변국의 위치가 표시된 「日本諸島及隣國之地圖」⋅日本全形圖」등에도 일본영토가 채색된 반면 동해 안쪽의 두 섬은 채색되지 않거나 그려있지 않다. 「山陰道及山陽道地圖」등에는 오키까지만 그려져 있다. 『新撰地誌』⋅『明治地誌』등은 공식적으로 검정을 획득했을 뿐 아니라 당시 대표적인지리교과서로 손꼽힌다. 따라서 독도를 조선영토로 간주해 일본영토에서 제외한 오카무라의 지리교과서는 문부성을 비롯한 일본정부의 차원에서도 독도를 일본영토가 아니라 조선영토로 인정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영문 초록

Okamura Masutaro (岡村増太郎) wrote Japanese geography textbooks as a representative educator in Meiji period. His geographical textbooks were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particular, he accurately reflected Japan’s territorial expansion and changes in his geography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Okamura’s recognition on Dokdo in his geography textbooks. The first Japanese geography textbook written by Okamura in Meiji period is Shinsen-chishi (『新撰地誌』). In his Shinsen-chishi, there are some proofs to confirm the fact that he regarded Dokdo and Ulleungdo as a part of Joseon’s territory, not Japanese territory, although he perceived the existence of Dokdo and Ulleungdo. Japanese territory was colored, but Dokdo and Ulleungdo were uncolored and the oblique line was drawn on Joseon on Nihon-sozu (「日本總圖 」), two islands were not drawn on Nihon-zenzu (「日本全圖」), only Oki island was marked on Sanin-Sanyo-oyobi-Nankaido-no-zu (「山陰山陽及南海道之圖 」). Moreover, Japanese border was clearly excluded from Dokdo and Ulleungdo on アジア(「亞細亞」) as well. Okamura’s recognition on that Dokdo being under the Joseon was continued in his later geography textbooks. Dokdo was not described in the location of Japan and Saindo of his geography textbooks. In the geography textbooks, Dokdo and Ulleungdo were not drawn on the Dai-Nihon-zenzu (「大日本全圖」)⋅Huken-meisai-zu ([府縣明細圖」) etc., Japanese territory was colored, but Dokdo and Ulleungdo were uncolored or were excluded on the Nihonshoto-oyobi-ringoku-no-chizu (「日本諸島及隣國之地圖」)⋅Nihonzenkei-zu (「日本全形圖」) etc., and Dokdo was not drawn on the Sanin-Sanyo-oyobi-Nankaido-no-zu (「山陰道及山陽道地圖」) etc.. Okamura’s geography textbooks were authoriz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about that time. This fact supports to show that not Okamura but also the Japanese government did not recognized Ulleungdo and Dokdo as Japanese territory before February 1905.

목차

1. 머리말
2. 오카무라의 일본영토⋅오키 인식 배경
3. 오카무라의 독도=조선영토 인식
4. 오카무라의 일본영토 내 독도 배제와 그 의미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철호(Cheolho Han). (2018).일본 메이지시기 오카무라 마스타로(岡村増太郎)의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인식. 독도연구, (24), 7-46

MLA

한철호(Cheolho Han). "일본 메이지시기 오카무라 마스타로(岡村増太郎)의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독도 인식." 독도연구, .24(2018): 7-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