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운몽>과 <옥루몽>에 나타난 정처(正妻)인물의 비교 연구

이용수 235

영문명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true wife in Guwoonmong and Oklumong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장몽몽(Zhang Meng-me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語文硏究 第109輯, 139~16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구운몽>과 <옥루몽>에 등장하는 정처인물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구운몽>과 <옥루몽> 정처인물의 형상화 양상을 살피고, 이어서 정처인물의 서사적인 기능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처인물의 변화와 문학사적 의의를 조망해 보았다. 먼저 두 작품에 등장하는 정처인물의 형상화 양상을 살폈다. 두 작품의 정처인물은 각기 출생과 외모가 출중하다. <구운몽>의 경우 정부인과 이부인 공히 천상의 선녀가 적강한 인물로 외모가 관념적인 미인으로 형상화되었다. 예능적 자질도 뛰어나 음악적인 식견이나 문재도 돋보인다. 그런가 하면 품성과 행실도 좋아 가족공동체를 위하여 자신의 희생도 마다하지 않는다. <옥루몽>의 경우 윤부인과 황부인의 형상화가 상반된다. 윤부인은 전형적인 중세 사대부 집안의 여성인물로 특출한 외모를 가졌지만 수동적인 성격이다. 모든 행위도 유교적인 이치에 준하고 있다. 황부인은 개인적인 욕망을 추구하는 인물이다. 재상가의 여식으로 그 출신이 돋보이지만 외모에 있어서는 부족한 편이다. 예능적인 자질은 돋보이지 않지만 악행을 일삼아 갈등을 유발하는 주체라 하겠다. 다음으로 정처인물의 서사적인 기능을 분석하였다. <구운몽>이나 <옥루몽>의 정처인물은 서사적인 기능을 달리하고 있다. <구운몽>의 정처인물은 중세적인 공동체의 이념을 추수하는 공통점이 있다. 개인보다는 집단을 중시했던 유교이념을 충실히 수행하는 것으로 문학적인 효능감을 발휘한다. 두 정처가 개인적인 의지를 관철하기도 하는데 이것은 갈등을 조성하여 서사성을 고양하는 데 일익을 담당한다. <옥루몽>의 정처인물은 보수적인 중세인물과 근대적인 진보인물로 형상화된다. 그래서 서사적인 기능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윤부인은 고답적인 유교이념을 추수하는 전범화된 여성인물로 서사에 내재되어 있다. 반면에 황부인은 개인적인 이익과 욕망 때문에 악행도 마다하지 않는다. 그 결과 사건을 추진하는 동력이 되어 소설의 흥미성 제고에 크게 기여한다. 끝으로 정처인물의 변화와 문학사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구운몽>의 정처인물은 개인적인 욕구가 있을지라도 그것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고 유교적인 덕목을 실천하는 데 집중한다. 중세적인 이념을 담은 조화의 문학에 적합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옥루몽>의 경우 중세적인 이념을 고수한 인물은 서사적 기능이 대폭 축소되고, 근대적인 욕망을 담은 인물의 기능은 크게 확장된다. 이것은 중세에서 근대로 변화하는 문학사의 사정을 정처인물이 증명하는 바라 할 수 있다. 정처인물의 문학사적 의미를 바로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diachronic changes in the characters of the true wife figures in Guwoonmong and Oklumong. To this end, the figuration aspect of the characters of the Guwoonmong and Oklumong were first examined, followed by the epic functions of the true wife figures. Based on this, the diachronic change and literary significance was overlooked. First of all, the figuration aspects of the true wife characters were examined in the two works. The characters of the two works are outstanding in their birth and appearance. In the case of Guwoonmong, both Mrs. Jeong and Mrs. Lee were portrayed as an ideal beauty, a figure descended from the heavenly fairy. They have great artistic qualities, so they stand out in musical knowledge and literature. Their personality and behavior are also good, so they do not mind sacrificing themselves for the family community. In the case of Oklumong, the images of Mrs. Yoon and Mrs. Huang are opposite. Mrs. Yoon has an exceptional appearance as a female figure from a typical medieval aristocrat family, but she is passive. All her actions are in accordance with Confucian concept. Mrs. Huang is a person who pursues personal desire. Her social status stands out as she is the daughter of the Chancellor, but her appearance lacks. Her artistic qualities are not outstanding, and she causes conflict by misbehavior. Next, the epic functions of true wife figures were analyzed. The true wife characters of Guwoonmong and Oklumong have different narrative functions. The characters of the Guwoonmong have something in common to pursue medieval community ideologies. It demonstrates literary efficacy by faithfully carrying out Confucianism, which valued groups rather than individuals. The two true wife characters also carry out their personal needs, which are responsible for raising the narrative by creating conflicts. The true wife characters of Oklumong are shaped as conservative medieval and modern progressive figures. So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arrative function. Mrs. Yoon is embedded in the narrative as a typical woman character who pursues classical Confucianism. On the other hand, Mrs. Huang does not mind evil deed because of her personal interests and desires. As a result, it contributes greatly to raising the interest of the novel by becoming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event. Finally,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and diachronic change of the true wife figures was understood. The character of Guwoonmong focuses on practicing Confucian virtues. Even if a personal desire exists, it is not put at the forefront. This character is well suited to the literature of harmony with medieval ideologies. In the case of Oklumong, the person who adheres to medieval ideologies greatly reduces one’s epic function and the function of the person who contains modern desires greatly expands. This can be a testament to the changing situation from medieval literature to modern literature. The literary historic meaning of true wife figure can be found from here.

목차

1. 서론
2. 정처인물의 형상화 양상
3. 정처인물의 서사적 기능
4. 정처인물의 변화와 문학사적 의미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몽몽(Zhang Meng-meng). (2021).<구운몽>과 <옥루몽>에 나타난 정처(正妻)인물의 비교 연구. 어문연구, 109 (1), 139-168

MLA

장몽몽(Zhang Meng-meng). "<구운몽>과 <옥루몽>에 나타난 정처(正妻)인물의 비교 연구." 어문연구, 109.1(2021): 139-1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