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지역 서원건립 상황과 특징

이용수 339

영문명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Building Seowon in Yeongnam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수환(Lee Soo-hwa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8집, 81~10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영남지역의 서원 건립현황과 영남 남인계 서원의 특징적인 면을 검토하였다. 서원은 16세기 중반 교육기관으로 설립되었지만, 사림들이 정치적 주도권을 장악한 선조 조 이후부터 전개되는 붕당정치하에서는 각 정파들의 자파세력 확보・확대를 위한 매개체 내지 그들의 후방적 기지 역할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山林세력이 중앙정계에 진출하는 17세기 중반 이후부터 서원문제는 각 당파 간의 중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그 결과 각 서원은 지역과 당색에 따라 그 조직과 운영 등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를 대별해 보면 영남 남인계 서원과 서인계(老・少論) 서원으로 구분될 수 있다고 본다. 서원은 사림의 향촌 내 활동기반이었다는 점에서 당시 폭넓은 재지세력이 존재한 경상도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건립되었다. 『嶠南誌』와 대원군 원사훼철 시에 작성된 『道內各邑書院毁撤査括成冊草』를 종합해 보면 경상도에 건립된 원사는 711소이다. 또한 영남지역에는 18세기 이후 노론정권의 자파세력 확대를 위한 근거지로서 노론계 서원 60여 개소가 건립되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서 남인의 반발에 부딪쳐 치열한 분쟁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영남 남인계 서원의 경우 설립과 운영은 중앙 또는 지방권력과 긴밀한 유대관계를 모색하면서 서원을 운영해 온 인조반정 이후 집권세력인 서인계 서원과는 다르게 퇴계의 서원론에 일정한 영향을 받아 중앙권력이 개입하지 않았다. 영남 남인계 서원의 원장은 각 서원의 『원임안』에 근거하면 극히 예외적으로 인맥・학맥관계로 도내의 인사가 선출되는 경우가 있었으나, 대부분은 鄕中 인사로 나타나며, 또한 『입원록』에 등재된 인사 중에서 선출되는 것이 관례였다. 이에 반해 서인계 서원의 원장은 대체로 중앙정계의 고위관료로 추대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권력지향적인 성격은 자파 현직관료로 임명되는 ‘京院長’, ‘京齋任(京掌議・京有司)’ 제도에서도 확연히 들어난다. 남・서인계 서원 간에는 입원생의 자격규정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었다. 영남 남인계 서원은 18세기 이후 사회변화와 관련하여 서인계 서원이 다소 개방적인 입장이었는데 비해, 중인・서얼에 대한 신분적 규제를 강화함으로써 점차 보수적인 입장을 강화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status of building seowon in Yeongnam and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Yeongnam Namin-line seowon. Seowon were built a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mid-16th century. Under the factional politics developed from the reign of Seonjo when the people grabbed the political initiative, however, seowon did play roles as a medium to either secure or extend the following forces of each faction or the rear base. Accordingly, from the mid-17th century when the Sanrim (山林) power entered the center of the political world, the matter of seowon became crucial interest to each of the factions. As a result, seowon are very much different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 organization or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gions or features of each faction. Based on the differences, seowon can be classified into Yeongnam Namin-line seowon and Seoin-line (No・Soron (老・少論)) seowon. As seowon formed the ground for Sarim’s activities in the country, absolutely more seowon were built in Gyeongsang-do where the native power existed prevalently then. Considering 『Gyonamji (嶠南誌)』 and 『Donae Gakeupseonwon Hwecheolsagwalseongchaekcho (道內各邑書院毁撤査括成冊草)』 written on Daewongun’s order of Wonsahwecheol in general, we can see that 711 seowon・sawoo were built in Gyeongsang-do. Also, in Yeongnam, after the 18th century, 60 Noron-line seowon were founded as the ground to enlarge the followers of the Noron power. In that process, they confronted Namin’s resistance, which led to severe conflict. Unlike the seowon of the Seoin line, the ruling clique after the Injobanjeong, which were operated while they sought a close bond with the central or local authority, Yeongnam Namin-line seowon were influenced by Toegye’s Seowon-ron to some extent, and the central authority did not intervene with them. According to each seowon’s 『Woniman (院任案)』, the chiefs of Yeongnam Namin-line seowon were selected from the figures of the province based on personal or academic connections very exceptionally ; however, most of them were the figures of the country, and conventionally, they were chosen from the figures registered in 『Ipwonrok (入院錄)』. Contrarily, as the chiefs of Seoin-line seowon,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in the center of the political world were generally appointed, and this power-oriented aspect is also clearly found in the ‘Gyeongwonjang (京院長)’ or ‘Gyeongjaeim (京齋任) (Gyeongjangui・Gyeongyusa (京掌議・京有司))’ system to appoint the incumbent officials following them.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Namin- and Seoin-line seowon in terms of the rules about the qualifications of enrollees. Although Seoin-line seowon took rather open positions keeping pace with the changes of the society after the 18th century, Yeongnam Namin-line seowon solidified conservative positions gradually by heightening status-related regulations about jungin and seoeol.

목차

Ⅰ. 머리말
Ⅱ. 영남지방 서원건립 상황
Ⅲ. 영남서원의 특징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환(Lee Soo-hwan). (2021).영남지역 서원건립 상황과 특징. 민족문화논총, 78 , 81-109

MLA

이수환(Lee Soo-hwan). "영남지역 서원건립 상황과 특징." 민족문화논총, 78.(2021): 81-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