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구 김광석길의 장소 형성과 도시재생

이용수 361

영문명
Place Formation and Urban Regeneration in Daegu Kim Gwang-Seok Street: With a focus on the Experiences of Local artists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유신(Kim, Yu Shi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8집, 203~23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구 김광석 다시 그리기길(이하 김광석길)의 형성과정에 참여한 지역 예술가들의 인식과 활동에서 드러나는 특징적 양상과 김광석길의 장소 변화 사이의 관계를 파악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김광석길을 낙후한 도시공간의 물리적・경제적・사회적・문화적 기능을 회복하고 새로운 기능을 창출하여 재활성화하는 도시재생의 개념 속에서 이해한다. 김광석길을 연구 사례로 선택한 이유는 이곳이 대구 지역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동시에 도심 속에 새롭게 만들어진 장소로서의 각종 문제점과 모순적인 현상이 압축적으로 드러나는 곳이기 때문이다. 그동안 김광석길에 대한 접근은 결과론적인 측면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기 전후의 경제적, 경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경향이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장소 형성에 관여한 주체의 경험을 통해 장소(Place)가 고정되거나 완전한 형태가 아니라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과정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김광석길 형성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지역 예술가들을 장소 형성의 주체로 설정하여 그들이 어떤 논리와 전략을 펼쳤는지를 살펴본다. 다양한 욕구와 의도가 반영된 장소 형성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도시재생 맥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점들의 근본적인 원인과 배경을 파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the local artists who with their specific perspective participated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im Gwang- Seok Re-drawing/missing Street in Daegu(hereafter Kim Gwang-Seok Street) and the changes in the place of that street. In this study, Kim Gwang-Seok Street is understood in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by restoring the phys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the underdeveloped urban space and creating new functions to revitalizing. The reason why Kim Gwang-Seok Street was chosen as a research case is that it is a representative tourist attraction in Daegu and also a newly created place where various problems and contradictory phenomena are compressed in the city center. Until now, the approach to Kim Gwang-Seok Street has tended to consider economic and landscape changes before and after gentrification from the consequential aspects. In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e subject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Kim Gwang-Seok Street is to confirm that the place is not a fixed or complete form but a process created through interaction with people. Particularly this study set the local artists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formation of Kim Gwang-Seok Street as the subject of place formation and examine their perspective such as logic and strategy especially practiced in the process of formation. By examining specific case of place formation that reflect various needs and intentions,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the fundamental causes and backgrounds of various problems arising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도시재생과 전통시장의 활성화
Ⅲ. 김광석길 형성과정과 지역 예술가
Ⅳ. 지역 예술가의 장소 만들기 전략과 특징
Ⅴ. 나가며: 변화와 공존의 장소 만들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유신(Kim, Yu Shin). (2021).대구 김광석길의 장소 형성과 도시재생. 민족문화논총, 78 , 203-233

MLA

김유신(Kim, Yu Shin). "대구 김광석길의 장소 형성과 도시재생." 민족문화논총, 78.(2021): 203-2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