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선산 금오서원의 건립과 운영

이용수 163

영문명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GeumoSeowon in Seons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저자명
이병훈(Lee, Byoung-hoon)
간행물 정보
『민족문화논총』제78집, 45~7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8.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선산 금오서원은 1567년(명종 22) 건립을 요청했으나 1572년(선조 5) 길재를 제향하기까지 5년이 걸렸다. 당시 선산 사림들은 서원 건립에 이견이 없었지만 제향인 선정에서 의견이 대립하였다. 이런 가운데 이견이 없는 길재를 우선 독향하여 서원 건립을 진행하였다. 건립 이후에도 의견이 분분했지만 결국, 김종직・정붕・박영을 추향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것은 길재 이래로 김숙자-김종직-정붕-박영으로 이어지는 선산의 도통 내지 학통을 확립하려는 의도였다. 그 후 1575년(선조 8) 서원이 위치한 금오산의 지명을 따라서 금오서원으로 사액을 받았다. 하지만 제향인 선정 과정에서 드러난 향내의 분열은 이후 서원의 운영과 위상을 제약하는 한 원인이 되었다. 임란 당시 소실된 금오서원은 선산부사 김용의 주도하에 1602년(선조 35) 남산으로 옮겨 중건한 후 1605년(선조 38) 다시 장현광의 주도로 낙동강변으로 이건했다. 당시 지명을 따라서 향인들은 남산서원으로 불렀으나 1606년(선조 39) 금오서원으로 다시 사액을 받으면서 이후 금오와 남산이라는 명칭이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실제 사액은 1609년(광해군 1)에 내려왔으며, 서원의 규모도 1619년(광해군 11)에 완전히 갖추어졌다. 영남의 서인 내지 노론계의 중심처였던 선산은 17세기 말 이래로 크게 성장하여, 서인이 집권한 18세기에는 지방관의 지원 아래 선산지역 향론을 주도하였다. 금오서원의 경우에도 17세기에는 남인계가 주도했으나 18세기 들어와서는 서인계가 주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제향자인 길재와 정붕의 시호를 청원하거나, 건물을 중건하는 등의 사안에는 당색을 떠나서 모두가 참여하였다. 18세기 중반 이후 노론계가 서원 운영을 주도하였다. 이들은 신향들의 서원 참여를 허용하고, 노론계 지방관의 협조 아래 퇴락한 건물을 중수하고, 계전을 마련하여 강학과 운영 경비를 마련하였다. 지방관의 원장 참여도 18세기 후반부터 확인된다. 나아가 19세기 말의 원사 훼철령 이후에는 선산지역에서 유일하게 훼철되지 않은 서원으로서 향내 모든 가문이 참여하여 서원을 중수하고, 강학계를 조직하여 유림들의 결속을 도모하는 구심처로서 역할 하였다.

영문 초록

Seonsan Geumoseowon requested to be built in 1567 (the 22nd year of King Myeongjong), but it took five years to build sacrificial space of Giljae in 1572 (the 5th year of King Seonjo). At that time, the Seonsan sarim had no objec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eowon, but their opinions were conflicting in the selection of the Objects for Sacrificial Rite person. In the midst of this, the construction of the seowon was carried out with Giljae, who had no objection, to be selected alone. Opinions were divided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but in the end, it was decided to pursue Kim Jong-jik, Jeong Bung, and Park Young. This was intended to establish the continuity or pedigree of Seonsan from Giljae to Kim Sook-ja, Kim Jong-jik, Jeongbung, and Park Young. After that, in 1575 (the 8th year of King Seonjo), he received a private salary as Geumo Seowon, following the name of Mt. Geumosan where the seowon was located. However, The division of rural society revealed in the process of selecting jehyangin became one of the factors that limited the operation and status of the seowon. Geumoseowon, which was destroyed during the Imran, was moved to Namsan in 1602 (35th year of King Seonjo) under the leadership of Seonsan Bussa KimYong, and rebuilt, and then moved to the Nakdong Riverside in 1605 (38th year of King Seonjo) led by Jang Hyeon-gwang. At that time, the townspeople called it Namsan Seowon, but in 1606 (39th year of King Seonjo), the name was used together as Geumo Seowon. However, the actual the signboard came down in 1609 (Gwanghae-gun 1), and the scale of the seowon was completely completed in 1619 (Gwanghae-gun 11) Seonsan, which was the center of Seoin and Noron in Yeongnam, has grown significantly since the end of the 17th century, and in the 18th century, when Seoin came to power, led Hyangron in Seonsan area with the support of local officials. In the case of Geumohseowon, it is estimated that the Namin family led the way in the 17th century, but it was led by the Seoin family in the 18th century. However, in matters such as petitioning for the names of the devotees Giljae and Jeongbung, and rebuilding the building, everyone, regardless of party, took part. After the middle of the 18th century, the Noron-gye took the lead in operating the seowon. They allowed the priests to participate in the vows, repaired the deteriorating buildings with the cooperation of the Noron-gye provincial officials, and prepared a relay to provide lectures and operating expenses. Th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ors was also confirmed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8th century. Furthermore, after the destruction of the Seow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it was the only seowon in the Seonsan region that had not been destroyed, and all families in the town took part in the restoration of the seowon, and it served as a central place to promote the unity of the Yurim by organizing the strong academic community.

목차

Ⅰ. 머리말
Ⅱ. 16~17세기 초반 건립과 중건 추이
Ⅲ. 18~19세기 운영과 중수 양상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병훈(Lee, Byoung-hoon). (2021).조선후기 선산 금오서원의 건립과 운영. 민족문화논총, 78 , 45-79

MLA

이병훈(Lee, Byoung-hoon). "조선후기 선산 금오서원의 건립과 운영." 민족문화논총, 78.(2021): 45-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