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웨이트 트레이닝 남성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Bench press와 Squat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를 이용한 1-RM 추정
이용수 27
- 영문명
-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and Measured Intensity of Bench Press and Squat for Weight Training Beginner and Trained Group, and the Development of 1-RM Prediction Model Based on Cognition Intensity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이병근(Lee, Byung-Kun)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4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본 연구의 목적은 웨이트 트레이닝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벤치 프레스와 스쿼트의 60%, 75% 및 90% 인지강도와 실측강도 차이를 비교하고, 인지강도를 이용하여 1-RM 추정식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웨이트 트레이닝 초보자 16명과 중상급자 1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인지강도는 피검자가 수행하는 강도의 부하를 알지 못하도록 한 상태에서 자신의 1-RM의 60%, 75% 및 90%의 무게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실측 강도는 1-RM을 직접 측정하고, 1-RM의 60%, 75% 및 90%에 해당하는 강도를 산출하였고, 측정은 무선으로 배당하였다. 인지강도와 실측강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고, 인지강도를 이용하여 1-RM을 추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초보자의 경우 벤치 프레스와 스쿼트의 60%, 75% 및 90% 모두 인지강도와 실측강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벤치 프레스의 인지강도가 실측강도보다 9.8~14.4% 낮았고, 스쿼트는 15.0~33.4% 낮게 나타났다. 중상급자의 경우 벤치 프레스 60%와 75%, 스쿼트의 3가지 강도 모두에서 인지강도와 실측강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벤치 프레스의 인지강도가 실측강도보다 8.3~38.6% 낮았고, 스쿼트는 7.08~32.4% 낮게 나타났다.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인지강도 % 1-RM는 2동작 모두 3가지 강도 중에서 90%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1-RM을 추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초보자 벤치 프레스 추정식의 r은 0.67~0.84(p<.01), SEE는 8.70~11.95kg, 중상급자 추정식의 r은 0.66~0.89(p<.01), SEE는 5.57~10.16kg로 나타났다. 초보자 스쿼트 추정식의 r은 0.71~0.76(p<.01), SEE는 18.39~19.80kg, 중상급자 추정식의 r은 0.34~0.89, SEE는 10.94~13.50kg로 나타났지만 90% 추정 모형만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결론] 초보자와 중상급자 모두 인지강도가 실측강도보다 7~38% 정도 다소 낮게 다소 낮게 나타났다. 초보자 인지강도의 경우 벤치 프레스는 9.8~14.4%, 스쿼트는 15.0~33.4% 낮게 나타났고, 중상급자의 경우 벤치 프레스는 8.3~38.6%, 스쿼트는 7.08~32.4% 낮게 나타났다.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인지강도 % 1-RM는 60%에서는 46~52%, 75%에서는 58~64%로 유사하였으나, 90%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초보자와 중상급자 모두 인지강도를 이용하여 양호한 1-RM을 추정하는 모형을 산출하였다. 향후에는 더 많은 동작을 대상으로 여성과 다양한 연령층에 적합한 추정모형을 산출할 필요가 있겠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1)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on and measured intensities in bench press and squat for weight training beginner and trained groups, to develop an estimated equation for 1-RM using the cognition intensity,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ed model. [METHODS] The subject groups were consisted of 16 beginners and 15 trained individuals. Each subject selected the cognition intensity of 60%, 75% and 90% of 1-RM without knowing the actual load that applied to the subject. The measured intensities were calculated 60%, 75% and 90% of 1-RM after 1-RM measurement. The t-test was run to analyz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on and measured intensitie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estimate 1-RM using the cognition intensities.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gnition and the measured intensity of 60%, 75% and 90% 1-RM on both bench press and squat in the beginner group (p<.01). The cognition intensities of bench press and squat were 9.8~14.4% and 15.0~33.4%lower than the measured intensity, respectively. In case of trained group,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gnition and the measured intensity of 60% and 75% 1-RM on bench press, and those of 60%, 75% and 90% 1-RM on squat(p<.01). The cognition intensities of bench press and squat were 8.3~38.6% and 7.08~32.4% lower than the measured intensity respectively. The cognition intensities of 1-RM of beginner and trained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90% intensity among 3 intensities (p<.01). Based o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r of prediction for the beginner group on bench press was ranged from 0.67 to 0.84(p<.01) with the SEE of 8.70~11.95kg, and the r of prediction for the trained group was ranged from 0.66 to 0.89(p<.01) with the SEE of 5.57~10.16kg. The r of prediction for the beginner group on squat was ranged from 0.71 to 0.76(p<.01) with the SEE of 18.39~19.80kg, and the r of prediction for the trained group was ranged from 0.34 to 0.89 with the SEE of 10.94~13.50kg. Only 90% intensity exhibited significantly difference among the groups. [CONCLUSION] In the both beginner and trained groups, the cognition intensities were 7~38% lower than the measured intensities. In case of beginners, the cognition intensities of bench press and squat were 9.8~14.4% and 15.0~33.4%, respectively, lower than those of measured intensities. The cognition intensities of 1-RM of beginner and trained groups showed similar 46~52% on 60%, 58~64%on 75%, but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the 90% intensity among 3 intensities. The significant estimation models for 1-RM were developed both for beginners and trained person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estimation model for various age groups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multiple motions for the future study.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로스 운동법을 이용한 청소년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운동치료 사례
- 골격근의 신장성 근수축 운동에 따른 휴식시간의 차이가 혈중물질, 근손상 및 근재생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 축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신체정보를 이용한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의 개발
- 비만 여성의 하이힐 착용과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압력중심경로와 지면반력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웨이트 트레이닝 남성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Bench press와 Squat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를 이용한 1-RM 추정
- BMI에 따른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과 요부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 전정재활운동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자세조절 및 감각구성에 미치는 영향
-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 적성과의 관계
-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스파이크 서브의 타점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
-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타액 코티졸 반응의 변화
-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