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팬덤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 만족도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mpact of Fandom Activities on High School Students'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수중건강협회
- 저자명
- 현지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인간과학연구』제1권 제2호, 25~3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최근 청소년들의 특성에 맞는 문화로서 팬덤활동을 이해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으며 팬덤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팬덤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취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공개한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 2018 (KCYPS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열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2학년의 팬덤활동은 삶의 만족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경우 팬덤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질수록 학업성취 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 2학년 학생의 팬덤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성취 만족도가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팬덤활동이 학업성취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만큼 팬덤활동 정도에 따라 심리·사회적 측면의 개입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팬덤활동이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초,중,고 등 청소년 전반의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연구하여 건전하고 긍정적인 청소년 문화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recognition of fandom activities as a cultural phenomenon that align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eenagers. Therefore, various studies are needed to examine how fandom activitie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ndom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2nd-year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5th year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publish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Results: The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ndom activities of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as fandom activities became more active among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as found to decrease. Third,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was found to completely mediate the effect of fandom activities on life satisfaction for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Conclusion: Since fandom activities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psychosocial interventions tailored to the level of fandom activity are necessary. Additionally, further research is recommend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andom activities on adolescents at various educational level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cross different aspects, in order to promote a healthy and positive youth cul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