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수중심리운동의 연구 동향 및 미래 방향성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Aquatic Psychomotor Activiti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수중건강협회
저자명
이상미 김성민
간행물 정보
『한국인간과학연구』제1권 제2호, 13~2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체육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수중심리운동 개념의 이해 및 수중심리운동과 관련된 국내 연구를 조사하여 향후 수중심리운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수중심리운동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 수중심리운동에 관한 국내 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2014년~2024년 웹기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014년부터 2024년도까지 수중심리운동 관련 연구의 특징은 주로 연구대상이 지적장애, 편마비, 자폐아동으로 총 7편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최근에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2편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수중심리운동 수행 후 자기표현능력, 운동능력, 주의집중 등 주요 변인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수중심리운동 연구는 2014년부터 2024년까지 대부분 지적장애, 편마비, 자폐아동 등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최근에는 경도인지장애 및 치매를 가진 노인 등 다양한 연령층으로 연구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수중심리운동의 과학적인 효과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이전에 사용된 심리적 지표와 생리적인 지표를 함께 활용한 연구 결과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quatic psychomotor therapy, investigate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aquatic psychomotor therapy, and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ts development. Method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aquatic psychomotor therapy, domestic research literature on aquatic psychomotor therapy in South Korea was reviewed. For this purpose,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registered in web-based databases from 2014 to 2024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From 2014 to 2024, research on aquatic psychomotor exercise mainly targete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emiplegia, and autism. Recently, research has expanded to includ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The results indicate that aquatic psychomotor exercise positively influenced major variables such as self-expression ability, motor ability, and attention. Conclusion: First, most studies on aquatic psychomotor exercise have been conducted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rom 2014 to 2024, related research mainly targete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emiplegia, and autism, while recent studies have expanded to include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Second, to clearly determine the effects of aquatic psychomotor exercise, it is necessary to use physiological indicators to obtain more objective and scientific data.

목차

Ⅰ. 서론
Ⅱ. 수중심리운동의 개념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미,김성민. (2024).국내 수중심리운동의 연구 동향 및 미래 방향성 탐색. 한국인간과학연구, 1 (2), 13-24

MLA

이상미,김성민. "국내 수중심리운동의 연구 동향 및 미래 방향성 탐색." 한국인간과학연구, 1.2(2024): 13-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