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of Badminton Matches and the Performance of Jump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수중건강협회
- 저자명
- 김남수 문제헌 이진석
- 간행물 정보
- 『한국인간과학연구』제1권 제2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e primary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jumping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matches in badminton singles across four Olympic events.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are intended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planning the training directions and objectives for future badminton athletes. Methods: This study involved a random selection and analysis of 18 men's and women's singles matches from the Summer Olympics held between 2004 and 2016. The sample included 11 male and 13 female athlet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tili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ch importance and jumping performance. Results: The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in women's singl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tch importance and the total number of jumps (r=0.803), average number of jumps (r=0.789), minimum number of jumps (r=0.797), and maximum number of jumps (r=0.763). Second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match importance and the total number of jumps (r=-0.763) in women's singles match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jumping performance has a greater impact on women's singles matches compared to men's singles matches. By incorporating total jumps per match, average jumps, and maximum jumps into training plans, athletes can prepare more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영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총 4회의 올림픽 대회 단신 배드민턴 경기중요도에 따른 점프 수행 능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배드민턴 선수들의 훈련 방향성과 훈련 목표를 계획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16 하계 올림픽 남자 그리고 여자 단식 총 18경기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남자 선수는 총 11명, 여자 선수는 13명이 본 연구 대상자에 포함되었다. 경기중요도와 점프 수행 능력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단식은 점프 횟수는 경기중요도에 따라 전체 점프 횟수(r=0.803), 평균 점프 횟수(r=0.789), 최소 점프 횟수(r=0.797) 그리고 최다 점프 횟수(r=0.763)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여자 단식 경기에서 경기중요도와 전체 점프 횟수(r=-0.763)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점프 수행 능력은 남자 단식 경기보다 여자 단식 경기에서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나, 경기 당 전체 점프 횟수, 평균 점프 횟수, 그리고 최대 점프 횟수를 고려하여 훈련을 계획한다면 효율적으로 훈련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