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1
- 영문명
- Effects of Short-term Swimming Exercise Training on Lactate Levels, MCT 1 Contents and Circulating Ketone Bodies in Rat Skeletal Muscle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이호성(Lee, Ho-Seong)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4호, 33~4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이 연구는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수영운동에서 실험동물은 8주령의 Sprague-Dawley (SD)수컷 흰쥐 총 32마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영운동은 1회 60분간, 주 7회, 3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다. 골격근내의 젖산은 운동직후(IA, n=8)에 측정하였으며, 골격근(가자미근, 장지신근), 심장근 및 간장의 MCT1 단백질양은 운동전(pre, n=8), 7일 후(7D, n=8) 및 21일 후(21D, n=8)에 각각 측정하였다. Glucocorticoid 투여실험에서 실험동물은 8주령의 Sprague-Dawley (SD)수컷 흰쥐 총 14마리를 투여군(administration group; n=7)과 대조군(control group; n=7)으로 분류하였으며, 투여군은 초산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acetate 2mg/kg)을,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4일간 매일 피하 투여하였으며, 투여 4일 후에 혈액을 채취하여 MCT1 단백질양 및 혈중 케톤체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가자미근 및 장지신근의 젖산농도는 운동전과 비교해서 운동직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p<.008 respectively). 가자미근 및 심장근의 MCT1 단백질양은 운동전과 비교해서 운동 7일 후 및 운동 21일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32, p<.005; p<.037, p<.028 respectively). 또한 간장의 MCT1 단백질양은 운동전과 비교해서 운동 21일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37). 간장의 MCT1 단백질양 및 혈중 케톤체 농도는 대조군과 비교해서 투여군에 있어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27, p<.021 respectively). [결론]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이 연구에서는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세포내에서의 내인성 monocarboxylic acid 및 양성자의 생성이 골격근과 간장의 MCT1을 유도할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hort-term swimming exercise training on lactate levels, MCT 1 contents and circulating ketone bodies in rat skeletal muscle. [METHOD] Male Sprague-Dawley rats (N=32) were performed swimming exercise training for 60 minute/day and 7 days/week, for 3 weeks. Lactate in rat skeletal muscle was measured immediately after (IA, n=8), and MCT 1 protein in soleus muscle,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and liver were measured before exercise (pre, n=8), after 7 days (7D, n=8) and 21 days (21D, n=8). In Glucocorticoid administration, Male Sprague-Dawley rats (N=14) were assigned to administration group (AG, n=7) and control group (CON, n=7). Administration group was subcutaneous injected prednisolone acetate (2mg/kg) and normal saline in control group, for 4 days, and than MCT 1 protein and blood ketone body were measured after injections. [RESULT] Lactate concentration in soleus muscle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of swimming exercise training compared with before exercise (p=.005, p=.008 respectively). MCT 1 protein in soleus muscle,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both 7 and 21 days of swimming exercise training compared with before exercise (p=.032, p=.005; p=.037, p=.028 respectively), and MCT 1 protein in liv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21 days of swimming exercise training (p=.037). In Glucocorticoid administration, MCT 1 protein in liver and blood ketone body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dministration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027, p=.021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duct of intracellular endogenous monocarboxylic and proton induces MCT 1 in the skeletal muscle and liver during short-term swimming exercise training.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로스 운동법을 이용한 청소년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운동치료 사례
- 골격근의 신장성 근수축 운동에 따른 휴식시간의 차이가 혈중물질, 근손상 및 근재생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 축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신체정보를 이용한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의 개발
- 비만 여성의 하이힐 착용과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압력중심경로와 지면반력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웨이트 트레이닝 남성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Bench press와 Squat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를 이용한 1-RM 추정
- BMI에 따른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과 요부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 전정재활운동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자세조절 및 감각구성에 미치는 영향
-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 적성과의 관계
-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스파이크 서브의 타점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
-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타액 코티졸 반응의 변화
-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