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
- 영문명
- Influence of Mentoring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Self-Management for High School Soccer Athletes
- 발행기관
- 대한운동학회
- 저자명
- 정승철(Jeong, Sung-Chul) 송은섭(Song, Eun-Seob) 황진(Hwang, Jin)
- 간행물 정보
-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제15권 제4호, 63~7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연구 목적은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 그리고 자기관리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전북 지역의 4개 고교 축구선수 186명이며 멘토링, 성취목표 성향 및 자기관리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주성분 분석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에 따라서 자기관리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멘토링은 사분위수를 이용하여 각각 멘토링 상, 중, 하로 구분했으며 성취목표 성향의 경우, 중앙치를 산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집단을 구분하고(숙달고-자기고, 숙달고-자기저, 숙달저-자기고, 숙달저-자기저)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했다. 마지막으로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 그리고 자기관리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했고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결과] 멘토링에 따라서 신체관리, 성취목표성향에 따라서 정신관리와 자기관리 그리고 상호작용에 의하여 신체관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 그리고 자기관리는 대부분 정적인 상관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관리 및 이에 대한 하위요인에는 멘토링의 심리,사회 기능과 숙달 성향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 성취목표 성향에 따라서 자기관리는 차이가 있었으며 이들 변인은 서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은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Mentoring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Self-Management for high school soccer athletes. [METHOD] Participants were 186 high school soccer athletes from ChonBuk. They submitted responses to three questionnaires measuring Mentor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Management respectively. We conduc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 α Analysis to found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Quartile Split used for turning the continuous variable, Mentoring, into a 3 categorical levels(High, Middle, Low) and Median Split used for turning the continuous variabl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to a 4 categorical Group(Mastery High-Ego High, Mastery High-Ego Low, Mastery Low-Ego High, Mastery Low-Ego Low),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ANOVA. Finally We conducte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 Physical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Mentoring Level. Self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variabl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Group. There is a interaction effect on Self-Management. Mentor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are strongly Correlated. Self-Management and its sub factor was mainly influenced by psycho․social function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Self-Management of High School Soccer Athletes was differentiated by Mentoring level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Groups. Mentori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Management are strongly Correlated. Finally, Self-management of high school soccer athletes was influenced by Mentoring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목차
서론
연구방법
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슈로스 운동법을 이용한 청소년 특발성 척추 측만증 환자의 운동치료 사례
- 골격근의 신장성 근수축 운동에 따른 휴식시간의 차이가 혈중물질, 근손상 및 근재생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
- 어깨뼈 익상여부에 따른 재활운동 동작 시 근활성도 비교
- 축구 영재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초등학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우울증-스트레스 정도에 미치는 효과
- 신체정보를 이용한 임피던스 체지방 추정식의 개발
- 비만 여성의 하이힐 착용과 가방무게 변화에 따른 압력중심경로와 지면반력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 단기간의 수영운동이 흰쥐 골격근 내 젖산, MCT1 발현 및 혈중 케톤체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웨이트 트레이닝 남성 초보자와 중상급자의 Bench press와 Squat 인지강도와 실측강도의 차이 및 인지강도를 이용한 1-RM 추정
- BMI에 따른 성인 여자 프로골프선수의 슬관절과 요부관절 등속성 근력 비교
- 전정재활운동이 파킨슨병 환자들의 자세조절 및 감각구성에 미치는 영향
- 중·장년층의 균형력과 근 적성과의 관계
- 고교 축구 선수들의 멘토링과 성취목표 성향이 자기관리에 미치는 영향
- 배구 스파이크 서브의 타점 위치와 공 궤적과의 관계
- 패러글라이딩 시 숙련도와 성별에 따른 타액 코티졸 반응의 변화
- 자결성 수준에 따른 운동유형의 선택이 참가자의 심리․생리적 효과와 지속실천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